AD
공공기관의 부패·공익신고 창구가 신고자의 신분이 노출될 위험이 높은 상태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 7월부터 두 달여 동안 1,589개 공공기관의 부패·공익신고 창구 운영에 대한 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 신고자 정보가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접근성과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밝혔습니다.
일부 공공기관의 경우 '신고제목'과 '신고자 이름'을 공개하거나 게시판 형태로 운영해 신분 노출 우려가 컸으며, 신고창구 운영을 민간에 위탁하거나 신고 단계를 평균 3~5단계 거치도록 설계하는 등 신고자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고 운영한 것 등이 지적됐습니다.
권익위는 이에 따라 신상 노출 방지를 위한 대책과 신고창구 간소화, 접근성 강화, 창구 단일화 등 개선 방안을 담은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각급 공공기관에 배포할 예정입니다.
YTN 이재윤 (jylee@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 7월부터 두 달여 동안 1,589개 공공기관의 부패·공익신고 창구 운영에 대한 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 신고자 정보가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접근성과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밝혔습니다.
일부 공공기관의 경우 '신고제목'과 '신고자 이름'을 공개하거나 게시판 형태로 운영해 신분 노출 우려가 컸으며, 신고창구 운영을 민간에 위탁하거나 신고 단계를 평균 3~5단계 거치도록 설계하는 등 신고자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고 운영한 것 등이 지적됐습니다.
권익위는 이에 따라 신상 노출 방지를 위한 대책과 신고창구 간소화, 접근성 강화, 창구 단일화 등 개선 방안을 담은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각급 공공기관에 배포할 예정입니다.
YTN 이재윤 (jylee@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