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간부, 항공우주공학 최고 권위 국제 기술사 취득...희귀 자격증 취득 비결은?

공군 간부, 항공우주공학 최고 권위 국제 기술사 취득...희귀 자격증 취득 비결은?

2021.01.13. 오전 10:0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공군 간부가 항공 우주 공학 분야 최고 자격증으로 취득 요건이 까다로워 국내에서 단 2명만 보유하고 있었던 '항공 우주 공학 국제 기술사' 자격을 취득했습니다.

주인공은 '공군 군수 사령부 항공 자원 관리단' 소속 무기체계 전문가(System Specialist ) 45살 최동인 준위(준사관 101기)입니다.

이 관리단은 공군에서 운용되는 모든 무기 체계의 원할한 군수 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운영과 유지 관리를 수행하는 곳입니다.

최 준위는 1993년에 공군 항공 과학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부사관으로 임관한 이후 2006년부터 F-15K, KF-16 등 공군 전투기 엔진 기술 지원과 관리 업무를 담당해 오다 항공기 엔진을 직접 개발하고 싶다는 꿈을 품고 도전했습니다.

이를 위해 2013년 공군 최초로 항공 기관 기술사와 금속 재료 기능장 자격을 동시에 취득했고, 공군 선정 '최우수·우수 무기 체계 전문가'로 세 차례나 선정됐습니다.

항공 우주 공학 국제 기술사는 국제 엔지니어링 연맹(IEA)에서 국가 간 원활한 기술과 인력 교류를 위해 만든 국제 통용 자격으로, 취득 시 IEA 회원국 항공기 엔진 설계와 연구 개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국제 기술사'를 취득하려면 ① 국내 기술사 자격을 보유해야 하며, ② 공학 석사 이상의 자격을 갖춘 공학 인증 교육 이수가 필요하고, ③ 7년 이상의 현장 기술 관련 실무 경력을 보유해야 하는데 ④ 이 가운데 최소 2년 이상의 책임 기술자 실무 경력이 있어야 합니다.

⑤ 또 한국기술사회에서 주관하는 기술사 자질 향상과 지속 교육을 위한 기본, 윤리/안전 교육·관련 전문 교육을 150학점 이수해야 합니다.

기술사 시험은 까다롭기로 유명한데 최 준위는 2013년에 처음 1차 필기시험에 도전해 국내에서 유일한 합격자가 됐지만, 2차 구술 시험에서는 떨어져서 1년 동안 다시 준비를 했다고 합니다.

정신적으로도 힘들었지만, 업무 시간 이후 퇴근해서는 별도로 공부할 시간을 내야 하는 데다 대학원까지 다니면서 논문 준비를 병행하는 어려움 속에서도 이듬해 2차 구술 시험엔 합격했습니다.

아이작 뉴턴의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서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라'는 말을 좌우명으로 삼고 있는 최 준위의 공부 요령은 ⓐ 먼저 이해할 수 있는지, ⓑ 이것을 응용할 수 있는지, ⓒ 다시 정리할 수 있는지, ⓓ 해결할 수 있는지, ⓔ 마지막으로 다른 사람에게 가르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며 공부한 지식을 자기 것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한국 공군의 정비 수준은 세계에서 어느 정도일까요?

엔진 사고를 유발한 부품이 있을 경우, 검사를 위해 엔진을 완전 분해해야 하지만, 시간적, 경제적 비용과 가동율 등의 문제로 내시경을 엔진 내부에 집어 넣어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다른 국가에서는 내시경 검사 방법이 어렵고, 특히 검사 결과 판정이 어려워 난색을 표한다고 합니다.

반면, 한국 공군은 엔진 내시경 검사 방법을 자체적으로 절차화했고, 이를 엔진 제작사에 알려주는 수준에 올라와 있어 심지어 엔진 제작사에서 방한한 뒤 "한국은 더 이상 교육시킬 게 없다"고 얘기하고 돌아간 적도 있다고 합니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기술 강국이지만, 엔진은 국산화가 쉽지 않아 애를 먹고 있습니다.

우리 군의 차세대 전투기인 KFX도 미국 항공기 엔진의 힘을 빌려야 하고, 우리 군함 엔진도 모두 수입산입니다.

항공기 엔진 기술은 자동차 엔진, 선박 엔진으로도 연결되는 만큼, 파급 효과가 큰 분야입니다.

최 준위는 항공기 엔진 분야의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美 미드웨스트 대학 항공 안전 MBA 과정과 국내 기계 공학 박사 학위 취득을 목표로 도전을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앞으로 최 준위가 만든 엔진으로 나는 공군 전투기들을 볼 수 있게 될까요?

이승윤[risungyoo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