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2020] 7백만 유권자, 90년대생은 이미 왔다 - 총선을 알다

[민심2020] 7백만 유권자, 90년대생은 이미 왔다 - 총선을 알다

2020.04.08. 오전 07:3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김아람 / 96년생 : (남자 안 만나?) 소개팅 들어왔는데 '자만추'라서 거절했어.]

[김병진 / 98년생 : (탕수육은 당연히 부먹이지?) 부먹은 '믿거'죠 '믿거'!]

[송주원 / 93년생 : (집들이 선물 기대해도 되죠?) 집들이 선물은 휴지가 '국룰'이야!]

[기자]
지난해 여름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전 직원에게 선물해서 유명해진 베스트셀러인데요.

90년대생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줄임말'을 꼽고 있습니다.

이제 90년대생은 모두 20대 청년이 됐습니다.

지금까지 없었던 낯선 세대 같지만, 7백만 명에 이르는 당당한 유권자입니다.

▲ 꼰대들의 청년 공약은 병맛?
우리 사회에서 '청년' 문제가 주목받기 시작한 건 외환위기 이후.

노동시장에서 비정규직이 본격적으로 양산되기 시작한 2000년대 초반입니다.

[김유선 / 한국노동사회연구원 : 주어지는 일자리가 거의 다 저임금 비정규직 일자리이다 보니까 아무래도 실업 기간이 늘어나고 구직활동 기간이 늘어나게 된 거죠. 그러면서 청년 실업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제기된 것 아닌가….]

2006년 지방선거에서는 당시 한나라당이 반값 등록금을 이슈화하며 청년 문제를 선거로 가져왔습니다.

청년 이슈를 정치적 자산으로 삼은 대표적인 정치인은 안철수 전 의원으로, 2011년 이른바 청춘 콘서트로 바람몰이했습니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청년정책을 선도하며 3선 고지에 올랐습니다.

이후 갈수록 심각해지는 청년 실업 문제와 함께 생활밀착형 공약이 많은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청년'은 선거의 주요 의제가 됐습니다.

[오세제 /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 대학 생활도 어렵고 취업도 어려운 상황에서 그에 대한 대책이 없다면, 아주 큰 민심의 이반을 가져올 수 있는 사안이었기 때문에 불가피한 것이었다고 봅니다.]

이번 4·15 총선에서도 청년 후보가 빠짐없이 등장하고 청년을 위한다는 공약이 쏟아집니다.

민주당의 청년·신혼 주택 10만 호 공급과 미래통합당의 불공정 입시 방지를 위한 정시 확대안, 정의당의 3천만 원 기초자산제 도입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김영민 / 청년유니온 사무처장 : 청년들을 어떻게 지원한다 이런 것뿐만이 아니라 청년들이 겪는 사회 구조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초점이 잘 안 맞춰지는 것들, 그런 것들이 아쉽다고 생각합니다.]

90년대생의 언어 가운데 이용하기 쉬운 상대, '호갱'이라는 단어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청년은 정치인들이 선거철에만 찾는 '호갱'일까요?

최근 선거에서 20대의 투표율은 예전보다 큰 폭으로 뛰어올랐습니다.

이번 총선에서도 7백만 90년대생이 적극적으로 표심을 드러낸다면, '호갱'이 될 가능성은 적을 겁니다.

YTN 김대겸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