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이준석 미래통합당 최고위원 페이스북
AD
박원순 서울시장이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신천지)을 허가했다는 지적에, 서울시 종교담당 실무 총책임자는 4일 "법인허가는 (시장이 아닌) 실무책임자 전결 사안"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이준석 미래통합당 최고위원은 "이럴 줄 알았다. '국장이 했다.' 그러면 경기도와 경상북도에서는 거부가 되었는데, 그 지자체 국장들이 서울시보다 더 세심한 거냐"고 말했다.
같은 날, 이 최고위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신천지 사단법인 설립허가증에는 당연히 다른 단체들처럼 서울특별시장의 도장이 찍혀있을 것"이라며 "그래서 서울시장은 원래 정치적 책임을 져야 되는 자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그는 "메르스 사태 때 그러면 삼성병원의 문제들에 대해 이재용 부회장은 무슨 직접적인 책임이 있어서 사과를 했냐"라며 "병원에서 누구를 진료하는지, 어떻게 진료하는지도 알지도 못했을 텐데. 전결 정도가 아니라 애초에 이재용 부회장은 진료에 대한 '권한'도 없는 사람이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최고위원은 서울시의 해명 기사를 공유하며 "그때 삼성병원과 의사분을 몰아붙이면서 '메르스 의사 1,500명 접촉' 이런 이야기하면서 몰아붙여서 이재용 부회장이 '대국민 사과'를 하는 상황까지 만들어내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앞서 유연식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 최고위원이 '오세훈 시장 때는 허가가 떨어지지 않았는데 박원순 시장 취임 뒤 신천지 법인허가가 났다'며 의혹을 제기한 것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 법인 설립허가는 거의 국장 전결 사항"이라고 말했다.
또 유 본부장은 "신청이 들어와 설립 허가 요건이 맞으면 허가가 나가는 것이 원칙"이라며 "2011년 11월 신청 당시에는 영원한복음예수선교회란 이름으로 들어왔고 대표자도 이만희 씨가 아닌 다른 사람으로 들어와서 신천지 정체성을 그때는 확인할 수 없었던 것 같다"고 해명했다.
YTN PLUS 이은비 기자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같은 날, 이 최고위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신천지 사단법인 설립허가증에는 당연히 다른 단체들처럼 서울특별시장의 도장이 찍혀있을 것"이라며 "그래서 서울시장은 원래 정치적 책임을 져야 되는 자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그는 "메르스 사태 때 그러면 삼성병원의 문제들에 대해 이재용 부회장은 무슨 직접적인 책임이 있어서 사과를 했냐"라며 "병원에서 누구를 진료하는지, 어떻게 진료하는지도 알지도 못했을 텐데. 전결 정도가 아니라 애초에 이재용 부회장은 진료에 대한 '권한'도 없는 사람이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최고위원은 서울시의 해명 기사를 공유하며 "그때 삼성병원과 의사분을 몰아붙이면서 '메르스 의사 1,500명 접촉' 이런 이야기하면서 몰아붙여서 이재용 부회장이 '대국민 사과'를 하는 상황까지 만들어내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앞서 유연식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 최고위원이 '오세훈 시장 때는 허가가 떨어지지 않았는데 박원순 시장 취임 뒤 신천지 법인허가가 났다'며 의혹을 제기한 것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 법인 설립허가는 거의 국장 전결 사항"이라고 말했다.
또 유 본부장은 "신청이 들어와 설립 허가 요건이 맞으면 허가가 나가는 것이 원칙"이라며 "2011년 11월 신청 당시에는 영원한복음예수선교회란 이름으로 들어왔고 대표자도 이만희 씨가 아닌 다른 사람으로 들어와서 신천지 정체성을 그때는 확인할 수 없었던 것 같다"고 해명했다.
YTN PLUS 이은비 기자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