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2030인가..."1%가 35%를 대변한다고?"

왜 2030인가..."1%가 35%를 대변한다고?"

2019.11.17. 오후 9:4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유권자 가운데 2030 세대 35%…국회의원은 1%
민주당, 청년 정책 잇따라 띄워…현실성 논란
한국당, 1차 영입 백경훈부터 대물림 논란
AD
[앵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여야 정치권에서 너도나도 2030 세대를 잡으려고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어른들이 청년들에게 던져 주는 식의 정책보다는 근본적으로 청년들이 정치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길을 확대해야 하는데,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이대건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1%가 35%를 대변한다."

딱 봐도 불가능할 것 같은 얘기입니다.

2030으로 불리는 청년 세대가 전체 유권자 가운데 35%나 차지하지만 20대 국회의원 가운데 청년 비율은 1%에 불과한 데서 나온 겁니다.

여야 모두 총선을 앞두고 이들의 맘을 사로잡는 데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먼저 이른바 '조국 사태'로 청년들이 눈에 띄게 등을 돌렸던 민주당부터 보겠습니다.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은 모병제에 이어 청년 신도시 조성을 띄웠는데 말이 많습니다.

입대 전, 입대 중, 입대 후에 따라 청년들의 이해관계가 갈리는 모병제에 이어 청년을 아예 분리하는 도시 조성이 생뚱맞다는 얘기가 당 안에서부터 나옵니다.

당헌 당규상 청년을 무려 만 45살로 규정하고 있는 한국당도 심각한 상황입니다.

청년들의 정치 참여 확대를 늘리려 하지만 1차 영입 대상인 '청년이 여는 미래' 백경훈 대표의 불공정한 대물림 논란으로 초반부터 진정성을 잃기 시작했습니다.

[백경훈 / 청년 단체 '청사진' 대표(지난달 31일) : 청년에게 미래 세대에게 공정한 그라운드(운동장), 그리고 다양한 기회 만드는 역할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정의당은 청년들의 기초 자산을 보장해주는 정책을 개발하려 하지만 소수 정당이라는 벽이 여전합니다.

역대 선거에서 알 수 있듯이 급조된 선거용 정책들로는 청년들의 맘을 돌리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2030 세대가 직접 국회에 들어와 그들 위한 정책을, 그들 스스로 만드는 토양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당장 진입 장벽이 높은 지역구보다는 각 정당들이 2030 세대의 비례대표 몫을 확대하는 게 그나마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김해영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지난달 25일) : 청년들을 위한 정책은 청년 국회의원이 체감도 높게 더 잘 만들 수 있습니다. 더불어 청년 세대의 정치 불신도 감소하게 될 것입니다.]

2030 세대를 진정 원한다면 답은 이미 정해져 있습니다.

선거용 정책보다는 직접적인 정치 참여만이 진정한 해법으로 보입니다.

YTN 이대건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