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2시간 뒤 한미 회담...폼페이오·볼턴 먼저 접견

문 대통령, 2시간 뒤 한미 회담...폼페이오·볼턴 먼저 접견

2019.04.11. 오후 10:5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비핵화 협상 재개의 분수령이 될 한미 정상회담이 두 시간 뒤에 열립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북미 대화의 조속한 재개와 성과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인데요,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에 앞서 미국 외교정책의 핵심 인사들인 폼페이오 국무장관, 볼턴 보좌관, 펜스 부통령도 잇따라 만났습니다.

워싱턴 현지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김도원 기자!

폼페이오 장관과 볼턴 보좌관 접견 내용은 공개가 됐나요?

[기자]
네, 아마 지금쯤 대화가 마무리되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비공개로 이뤄졌기 때문에 어떤 대화가 오갔는지는 청와대의 설명이 나와야 알 수 있는데요, 아직은 공개된 내용이 없습니다.

접견은 문재인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미국의 영빈관 '블레어 하우스'에서 이뤄졌는데요,

폼페이오 국무장관, 볼턴 국가안보보좌관과 함께 포틴저 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 후커 NSC 한국 담당 선임보좌관, 비건 대북특별대표 등 미국의 대북 정책 담당자들이 대거 참석했습니다.

우리 쪽에서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김현종 안보실 2차장, 최종건 평화기획비서관 등이 배석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중단된 비핵화 대화가 재개될 수 있도록 우리의 구상을 설명하고 미국의 협조를 요청하면서 의견을 교환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5월 한미 정상회담 때도 문 대통령은 폼페이오 장관, 볼턴 보좌관을 만나 50분 동안 대화를 나눴습니다.

[앵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이 대북 제재와 관련해 "여지를 두고 싶다"고 말했는데, 오늘 회담에 좋은 신호일까요?

[기자]
완전한 비핵화 전까지는 제재를 유지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에서 약간의 융통성이 생긴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폼페이오 장관이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에 도착한 날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한 발언인데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까지 어떠한 제재 해제도 없느냐는 질문이 나오자 약간의 여지를 남겨두고 싶다. 때로는 실질적인 진전을 이룬다면, 특별한 경우들이 있다고 답한 겁니다.

제재 예외로는 비자 문제를 거론해 대북 인도적 지원을 위한 여행 금지 면제 등을 고려하는 것 아닌가 하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런 얘기를 한 배경도 궁금한데요, 이번 회담에서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질지 주목됩니다.

[앵커]
문 대통령이 펜스 부통령도 접견할 예정인데, 지금 만났나요?

[기자]
네, 역시 비공개 접견이라서 정확한 상황은 알 수가 없는데요, 폼페이오 장관 등의 접견 시각을 고려하면 조금 뒤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외교 안보 참모들과 잇따라 만나 우리의 입장을 미리 설명하고, 정상회담에 앞서 미국의 입장을 정리해서 듣는 자리가 될 전망인데요,

특히 볼턴 보좌관과 펜스 부통령은 대표적인 대북 강경론자들이어서 미국 보수 진영의 생각을 살필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셈입니다.

접견 장소인 문 대통령의 숙소 블레어하우스는 백악관 바로 길 건너편에 있습니다.

차로 1~2분이면 갈 수 있는 거리인데요,

문 대통령은 펜스 부통령과의 접견까지 마친 후 우리 시각으로 새벽 1시, 이곳 시각으로는 정오에 백악관에 도착할 예정입니다.

[앵커]
비핵화 대화의 조속한 재개가 이제 두 시간 뒤 한미 정상회담에 달려 있는데 핵심 의제는 뭔가요?

[기자]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중단된 북미 대화가 다시 시작되도록 하는 게 문재인 대통령의 목표입니다.

비핵화의 최종 상태, 즉 '엔드 스테이트'에 대한 한미 양국의 견해는 일치한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고요,

또 비핵화를 이루기 위한 로드맵의 필요성도 양국이 공감한다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결국 로드맵의 내용, 즉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의 순서와 그에 대한 상응조치를 구체화하는 게 관건이 됩니다.

한미 양국뿐 아니라 북한까지도 동의할 수 있는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에서 쉽지 않은 작업이 될 것 전망이고요,

이번 회담에서 공감대가 마련된다고 해도 북한의 반응이 변수인 만큼 언론에 얼마나 구체적인 설명이 제공될지도 미지수입니다.

다만 사전 조율을 맡았던 김현종 2차장이 좋은 회담 결과를 예견했던 점, 또 오늘 공개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발언에서 대미 강경 발언이나 핵 활동 관련 언급이 없었다는 점은 긍정적인 변수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YTN 김도원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