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이번 4·3 보궐선거에서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의 축구장 유세전은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정치활동이 금지된 축구장 안에서 선거운동을 벌여 선관위 행정처분을 받았는데 애꿎은 구단만 2천만 원의 제재금 부과 결정이 내려져 형평성 논란도 일고 있습니다.
김종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남 FC 홈구장인 창원축구센터 관중석을 돌며 선거운동을 벌인 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강기윤 후보.
붉은 점퍼를 입은 채 손을 흔들고 어린이들과 사진도 찍으며 유세전을 펼쳤습니다.
하지만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는 운동 경기장 내 선거운동은 엄격하게 금지돼 있어 황 대표의 축구장 유세전은 역풍을 맞았습니다.
선관위는 선거법을 위반했다며 '공정선거 협조 요청'의 행정 처분을 내렸고, 프로축구연맹은 징계위를 열어 경남 FC에 제재금 2천만 원을 부과했습니다.
[김진형 / 프로축구연맹 홍보팀장 : 정치적 중립에 관한 조항은 축구에 있어서 K-리그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엄중히 준수해야 할 의무입니다.]
황 대표는 꼼꼼하게 살피지 못해 송구하다며 사과했지만, 논란은 잦아들지 않았습니다.
구단은 2천만 원의 징계를 받는데 정작 축구장에서 유세를 벌인 한국당은 솜방망이 처벌로 끝난 건 문제가 있다는 겁니다.
[황교안 / 자유한국당 대표 : 벌과금이라든가 제재 조치가 그것도 다시 한 번 재고가 이뤄졌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을 하고, 이를 위한 노력을 저희가 하겠습니다.]
민주당 등 여야는 한국당의 축구장 유세를 정치 민폐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이해찬 / 더불어민주당 대표 : (축구장에) 밀치고 들어갔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만약 그게 사실이라면 위력에 의한 업무방해죄가 됩니다. 그리고 무단 침입죄가 됩니다.]
하지만 경기장 선거유세는 한국당만 문제가 된 건 아닙니다.
정의당도 지난달 유세용 머리띠를 한 채 농구장에 들어간 사실이 드러나 뒤늦게 선관위 행정처분을 받았습니다.
지난달 중순에는 5당 후보들이 모두 축구장 유세를 벌였지만, 선관위는 당시 무료 경기여서 선거법 적용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정치 중립 지대인 경기장까지 침범한 선거 유세가 논란을 일으킨 가운데 이번 보궐선거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입니다.
YTN 김종욱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번 4·3 보궐선거에서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의 축구장 유세전은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정치활동이 금지된 축구장 안에서 선거운동을 벌여 선관위 행정처분을 받았는데 애꿎은 구단만 2천만 원의 제재금 부과 결정이 내려져 형평성 논란도 일고 있습니다.
김종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남 FC 홈구장인 창원축구센터 관중석을 돌며 선거운동을 벌인 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강기윤 후보.
붉은 점퍼를 입은 채 손을 흔들고 어린이들과 사진도 찍으며 유세전을 펼쳤습니다.
하지만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는 운동 경기장 내 선거운동은 엄격하게 금지돼 있어 황 대표의 축구장 유세전은 역풍을 맞았습니다.
선관위는 선거법을 위반했다며 '공정선거 협조 요청'의 행정 처분을 내렸고, 프로축구연맹은 징계위를 열어 경남 FC에 제재금 2천만 원을 부과했습니다.
[김진형 / 프로축구연맹 홍보팀장 : 정치적 중립에 관한 조항은 축구에 있어서 K-리그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엄중히 준수해야 할 의무입니다.]
황 대표는 꼼꼼하게 살피지 못해 송구하다며 사과했지만, 논란은 잦아들지 않았습니다.
구단은 2천만 원의 징계를 받는데 정작 축구장에서 유세를 벌인 한국당은 솜방망이 처벌로 끝난 건 문제가 있다는 겁니다.
[황교안 / 자유한국당 대표 : 벌과금이라든가 제재 조치가 그것도 다시 한 번 재고가 이뤄졌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을 하고, 이를 위한 노력을 저희가 하겠습니다.]
민주당 등 여야는 한국당의 축구장 유세를 정치 민폐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이해찬 / 더불어민주당 대표 : (축구장에) 밀치고 들어갔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만약 그게 사실이라면 위력에 의한 업무방해죄가 됩니다. 그리고 무단 침입죄가 됩니다.]
하지만 경기장 선거유세는 한국당만 문제가 된 건 아닙니다.
정의당도 지난달 유세용 머리띠를 한 채 농구장에 들어간 사실이 드러나 뒤늦게 선관위 행정처분을 받았습니다.
지난달 중순에는 5당 후보들이 모두 축구장 유세를 벌였지만, 선관위는 당시 무료 경기여서 선거법 적용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정치 중립 지대인 경기장까지 침범한 선거 유세가 논란을 일으킨 가운데 이번 보궐선거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입니다.
YTN 김종욱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