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 오후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 NSC 전체회의를 직접 주재합니다.
지난주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유를 되짚어보고,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한 중재 방안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청와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임성호 기자!
문 대통령이 NSC 전체회의를 직접 주재하는 건 오랜만이죠?
[기자]
문 대통령이 NSC 전체회의를 주재하는 건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직후인 지난해 6월 14일 이후 9개월 만입니다.
그만큼 하노이 회담 결렬을 중차대하게 본다는 의미입니다.
회의에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조명균 통일부 장관 등 외교·안보 고위 관계자들이 모두 참석합니다.
문 대통령은 하노이 회담 결렬 이유를 진단하고 향후 북미 비핵화 대화 중재를 위한 대응 방안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문 대통령은 지난주 3·1절 100주년 기념사에서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합의 무산으로 우리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다면서
북미 간 대화의 완전한 타결을 반드시 성사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오늘 NSC 회의에서 구체적인 북미 중재 방안이 나올까요?
[기자]
오늘은 일단 정확하게 현재 상황을 파악하는 데 더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어제, 하노이 회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하노이 회담에서 북미 정상 간 어떤 대화가 오갔고, 어느 단계에서 매듭이 꼬였는지, 당시 상황을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재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때문에 일단 오늘 NSC 회의에서는 정부 각급 채널에서 파악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북미 양측과의 접촉 계획을 구체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북한, 또 미국과의 구체적인 접촉은 어떻게 이뤄질까요?
[기자]
현재 상황을 미국과 북한이 각각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채널을 통한 접촉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를 만나러 이르면 내일 워싱턴으로 떠납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회담도 추진 중입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하노이 회담 결렬 직후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전화통화도 가졌습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에게 김정은 위원장과 얘기해 보고 그 결과를 알려달라면서 다시 수석 협상가 역할을 요청했는데요.
아직 북측과는 알려진 접촉 내용이 없습니다.
어제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북측과도 물밑 접촉을 통해 입장을 들어볼 예정이라고 밝혔는데, 국정원 채널을 통한 접촉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대북 특사 파견이나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판문점 정상회담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문 대통령은 이 같은 과정을 거쳐 하노이 회담의 경위를 종합적으로 파악한 뒤에 미국 워싱턴으로 가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북미 비핵화 대화 중재에 나설 것으로 관측됩니다.
지금까지 청와대 춘추관에서 YTN 임성호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 오후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 NSC 전체회의를 직접 주재합니다.
지난주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유를 되짚어보고,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한 중재 방안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청와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임성호 기자!
문 대통령이 NSC 전체회의를 직접 주재하는 건 오랜만이죠?
[기자]
문 대통령이 NSC 전체회의를 주재하는 건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직후인 지난해 6월 14일 이후 9개월 만입니다.
그만큼 하노이 회담 결렬을 중차대하게 본다는 의미입니다.
회의에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조명균 통일부 장관 등 외교·안보 고위 관계자들이 모두 참석합니다.
문 대통령은 하노이 회담 결렬 이유를 진단하고 향후 북미 비핵화 대화 중재를 위한 대응 방안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문 대통령은 지난주 3·1절 100주년 기념사에서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합의 무산으로 우리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다면서
북미 간 대화의 완전한 타결을 반드시 성사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오늘 NSC 회의에서 구체적인 북미 중재 방안이 나올까요?
[기자]
오늘은 일단 정확하게 현재 상황을 파악하는 데 더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어제, 하노이 회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하노이 회담에서 북미 정상 간 어떤 대화가 오갔고, 어느 단계에서 매듭이 꼬였는지, 당시 상황을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재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때문에 일단 오늘 NSC 회의에서는 정부 각급 채널에서 파악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북미 양측과의 접촉 계획을 구체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북한, 또 미국과의 구체적인 접촉은 어떻게 이뤄질까요?
[기자]
현재 상황을 미국과 북한이 각각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채널을 통한 접촉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를 만나러 이르면 내일 워싱턴으로 떠납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회담도 추진 중입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하노이 회담 결렬 직후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전화통화도 가졌습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에게 김정은 위원장과 얘기해 보고 그 결과를 알려달라면서 다시 수석 협상가 역할을 요청했는데요.
아직 북측과는 알려진 접촉 내용이 없습니다.
어제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북측과도 물밑 접촉을 통해 입장을 들어볼 예정이라고 밝혔는데, 국정원 채널을 통한 접촉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대북 특사 파견이나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판문점 정상회담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문 대통령은 이 같은 과정을 거쳐 하노이 회담의 경위를 종합적으로 파악한 뒤에 미국 워싱턴으로 가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북미 비핵화 대화 중재에 나설 것으로 관측됩니다.
지금까지 청와대 춘추관에서 YTN 임성호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