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방송 : YTN 뉴스나이트
■ 진행 : 김선영 앵커
■ 출연 : 이현종 / 문화일보 논설위원, 최영일 / 시사평론가, 서정욱 / 변호사
▶앵커: 민주당의 추미애 대표, 이른바 대리사과 사태에 대해서 어떤 입장을 밝힐지 관심이 집중됐는데요. 추미애 대표가 오늘 어떤 얘기를 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추미애 대표가 오늘 이런 식의 얘기를 했다 그래요. 정신력으로 버티고 있다, 이런 얘기를 했다고 하는데요.
▷인터뷰: 사실은 상당히 멘탈이 흔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왜냐하면 본인은 국민의당의 제보조작 행위에 대해서 정말 민주주의를 유린한 행위다라고 맹공을 퍼부었고요. 그런 과정에서 머리 자르기라는 표현 때문에 한번 크게 정치권이 요동을 쳤고요.
그리고 미필적 고의를 얘기해서 가이드라인 주는 거 아니냐, 집권여당 대표가, 이런 얘기까지 들었어요. 그래서 꽁꽁 더 얼어붙은 이 상황을 청와대의 임종석 비서실장이 가서 푼 것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대리사과가 돼버린 셈인데 그러면 추미애 대표가 가장 입장이 난처해진 거죠.
결국은 청와대도 난감해하면서 이런 얘기들이 전언된 거예요. 왜 이렇게 오해가 될 소지의 발언을 했는지 청와대도 잘 모르겠다. 심지어 박지원 전 대표는 미팅을 마치고 나와서 언컨트롤러블, 통제할 수 없는 사람이 추 대표라는 것이 청와대 입장이라는 전언까지 내놨어요. 이것은 비공식 이야기에서 전해진 것이기 때문에. 청와대는 처음에 굳이 추미애 대표라는 주어를 얘기 안 하려고 하다가 국민의당이 나중에 쏘아붙이니까 나중에 인정을 했어요. 여기서 추미애 대표가 결정해야 되겠죠. 제가 보기에는 쿨하게 대응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이렇게 보여집니다.
▶앵커: 오늘 쿨하게 대응했는지 추미애 대표 얘기를 들어보시죠.
[추미애 / 더불어민주당 대표 : 지금 이렇게 서 있는 게 밥심으로 버티는 게 아니고, 정신력으로 버티고 있어요. 제가 무슨 계산을 하며, 자기 정치를 하며 그렇겠습니까? 그렇게 살아오지도 않았고. 어느 한순간도.또 불리하다고 제가 물러서지도 않았고, 유리하다고 그것을 앞장서서 제 것으로 우기고 하지 않았습니다. 갑자기 여당 됐다고 여당인 척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 우리가 가졌던 초심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앵커: 날카로운 이현종 위원님, 추미애 대표의 웃음의 의미를 분석해 주시죠.
▷인터뷰: 내가 웃는 게 웃는 게 아니야. 그런 걸 아마 표현해 준 것 같은데 사실은 추미애 대표가 오늘 제주도에서 최고위원을 하고 사실은 다른 일정이 있었는데 몸이 불편하다, 이 치료를 해야 된다는 이유로 바로 서울로 올라왔습니다. 그만큼 지금 심기가 불편하다는 걸 이야기하겠죠.
추미애 대표는 여당 대표입니다. 야당 대표가 아니거든요. 사실 야당 대표 할 때는 투쟁성이나 이런 게 있다면 상당히 야당 대표로서 칭찬받겠지만 여당 대표는 사실 어떤 면에서 보면 야당을 관리해야 되고 야당을 포용해야 되고 결과물을 내놓아야 되는 게 여당 대표의 입장 아니겠습니까?
그러나 지금 최근 며칠간의 국면 속에서 여당 대표의 역할이 전혀 없었어요. 사실은 지금 여의도에서는 극적으로 다시 국회가 정상화됐다, 추경을 다시 심의한다 하지만 거기에는 추미애 대표의 이름이 없습니다. 우원식 원내대표 이름만 있는 것이죠. 그런 면에서 본다면 추미애 대표가 여당 대표로서 과연 어떤 자신의 위치를 지키고 있는가 하는 문제.
▶앵커: 공교롭게도 우원식 원내대표랑 비교되는 상황까지 갔잖아요.
▷인터뷰: 모든 걸 보면 우원식 원내대표에게만 박수만 치고 있고 지금 청와대하고 우원식 원내대표가 힘겹게 협상을 해서 이뤄냈다, 이런 식으로 가고 있는 것이거든요. 그런 면에서 본다면 지금 전화통화도 사실 청와대하고 되고 있지 않는 상황. 이게 어떤 면에서 보면 당청 간에 불협화음이 굉장히 빨리 왔다라는 우려감이 듭니다.
왜냐하면 문재인 대통령도 이번 정부는 민주당 정부라고 이야기를 했잖아요. 그런데 지금 점점 문재인 정부가 돼가고 있어요. 그런 면에서 본다면 이건 사실은 추미애 대표의 개인의 문제를 떠나서 당청관계가 처음부터 흔들려버리고 여당 대표가 저렇게 정치적 입지가 흔들려 버리면 앞으로 그러면 과연 당청관계를 어떻게 이끌어나갈 것인지. 사실 청와대도 문제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청와대가 추미애 대표를 제외하고 이렇게 물밑에서 해 버린다고 하면 물론 국면은 해결되겠지만 이후의 당청관계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대안 자체는 상당히 어려워 보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진행 : 김선영 앵커
■ 출연 : 이현종 / 문화일보 논설위원, 최영일 / 시사평론가, 서정욱 / 변호사
▶앵커: 민주당의 추미애 대표, 이른바 대리사과 사태에 대해서 어떤 입장을 밝힐지 관심이 집중됐는데요. 추미애 대표가 오늘 어떤 얘기를 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추미애 대표가 오늘 이런 식의 얘기를 했다 그래요. 정신력으로 버티고 있다, 이런 얘기를 했다고 하는데요.
▷인터뷰: 사실은 상당히 멘탈이 흔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왜냐하면 본인은 국민의당의 제보조작 행위에 대해서 정말 민주주의를 유린한 행위다라고 맹공을 퍼부었고요. 그런 과정에서 머리 자르기라는 표현 때문에 한번 크게 정치권이 요동을 쳤고요.
그리고 미필적 고의를 얘기해서 가이드라인 주는 거 아니냐, 집권여당 대표가, 이런 얘기까지 들었어요. 그래서 꽁꽁 더 얼어붙은 이 상황을 청와대의 임종석 비서실장이 가서 푼 것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대리사과가 돼버린 셈인데 그러면 추미애 대표가 가장 입장이 난처해진 거죠.
결국은 청와대도 난감해하면서 이런 얘기들이 전언된 거예요. 왜 이렇게 오해가 될 소지의 발언을 했는지 청와대도 잘 모르겠다. 심지어 박지원 전 대표는 미팅을 마치고 나와서 언컨트롤러블, 통제할 수 없는 사람이 추 대표라는 것이 청와대 입장이라는 전언까지 내놨어요. 이것은 비공식 이야기에서 전해진 것이기 때문에. 청와대는 처음에 굳이 추미애 대표라는 주어를 얘기 안 하려고 하다가 국민의당이 나중에 쏘아붙이니까 나중에 인정을 했어요. 여기서 추미애 대표가 결정해야 되겠죠. 제가 보기에는 쿨하게 대응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이렇게 보여집니다.
▶앵커: 오늘 쿨하게 대응했는지 추미애 대표 얘기를 들어보시죠.
[추미애 / 더불어민주당 대표 : 지금 이렇게 서 있는 게 밥심으로 버티는 게 아니고, 정신력으로 버티고 있어요. 제가 무슨 계산을 하며, 자기 정치를 하며 그렇겠습니까? 그렇게 살아오지도 않았고. 어느 한순간도.또 불리하다고 제가 물러서지도 않았고, 유리하다고 그것을 앞장서서 제 것으로 우기고 하지 않았습니다. 갑자기 여당 됐다고 여당인 척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 우리가 가졌던 초심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앵커: 날카로운 이현종 위원님, 추미애 대표의 웃음의 의미를 분석해 주시죠.
▷인터뷰: 내가 웃는 게 웃는 게 아니야. 그런 걸 아마 표현해 준 것 같은데 사실은 추미애 대표가 오늘 제주도에서 최고위원을 하고 사실은 다른 일정이 있었는데 몸이 불편하다, 이 치료를 해야 된다는 이유로 바로 서울로 올라왔습니다. 그만큼 지금 심기가 불편하다는 걸 이야기하겠죠.
추미애 대표는 여당 대표입니다. 야당 대표가 아니거든요. 사실 야당 대표 할 때는 투쟁성이나 이런 게 있다면 상당히 야당 대표로서 칭찬받겠지만 여당 대표는 사실 어떤 면에서 보면 야당을 관리해야 되고 야당을 포용해야 되고 결과물을 내놓아야 되는 게 여당 대표의 입장 아니겠습니까?
그러나 지금 최근 며칠간의 국면 속에서 여당 대표의 역할이 전혀 없었어요. 사실은 지금 여의도에서는 극적으로 다시 국회가 정상화됐다, 추경을 다시 심의한다 하지만 거기에는 추미애 대표의 이름이 없습니다. 우원식 원내대표 이름만 있는 것이죠. 그런 면에서 본다면 추미애 대표가 여당 대표로서 과연 어떤 자신의 위치를 지키고 있는가 하는 문제.
▶앵커: 공교롭게도 우원식 원내대표랑 비교되는 상황까지 갔잖아요.
▷인터뷰: 모든 걸 보면 우원식 원내대표에게만 박수만 치고 있고 지금 청와대하고 우원식 원내대표가 힘겹게 협상을 해서 이뤄냈다, 이런 식으로 가고 있는 것이거든요. 그런 면에서 본다면 지금 전화통화도 사실 청와대하고 되고 있지 않는 상황. 이게 어떤 면에서 보면 당청 간에 불협화음이 굉장히 빨리 왔다라는 우려감이 듭니다.
왜냐하면 문재인 대통령도 이번 정부는 민주당 정부라고 이야기를 했잖아요. 그런데 지금 점점 문재인 정부가 돼가고 있어요. 그런 면에서 본다면 이건 사실은 추미애 대표의 개인의 문제를 떠나서 당청관계가 처음부터 흔들려버리고 여당 대표가 저렇게 정치적 입지가 흔들려 버리면 앞으로 그러면 과연 당청관계를 어떻게 이끌어나갈 것인지. 사실 청와대도 문제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청와대가 추미애 대표를 제외하고 이렇게 물밑에서 해 버린다고 하면 물론 국면은 해결되겠지만 이후의 당청관계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대안 자체는 상당히 어려워 보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