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국회에서 열린 쌍용자동차 청문회에서는 대량 해고의 책임이 어디 있는지를 두고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당시 농성 진압을 지휘했던 조현오 전 경찰청장은 작전 상황을 청와대에 직보했다고 밝혀 거센 비판을 받았습니다.
김도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쌍용자동차 청문회는 정리해고 사태의 원인을 둘러싼 여야의 책임 공방으로 시작됐습니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이른바 '먹튀' 자본, 상하이차에 쌍용차를 넘긴 참여정부에 원죄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이완영, 새누리당 의원]
"당시 정세균 장관께서 특별협약을 해지해서 손쉽게 상하이차가 기술 유출만 해가고 제대로 경영도 못한 데 가장 첫째 원인이 있다 생각합니다."
민주통합당 의원들은 쌍용차가 자산가치를 일부러 40% 가까이 낮게 평가해 부채 비율을 높인 뒤 정리해고 명분으로 삼았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한명숙, 민주통합당 의원]
"쌍용자동차의 핵심은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엠비 정부의 친기업 반노동 정책이 반영된 것이다, 거기 뿌리내리고 있다고 결론을 내리고 싶습니다."
상하이차의 쌍용차 철수는 경제적 이유가 아니라 기술유출에 대한 노조의 반대와 검찰 수사, 정부의 비협조 때문이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녹취:심상정, 무소속 의원]
"정부는 더 큰 외교 분쟁을 원치 않았고, 산업은행은 채권 회수에 급급했고, 경영진은 책임회피를 하고 싶었기 때문에 그 책임을 물어야 해요, 누군가에게. 누구입니까 그게. 쌍용자동차 노조를 강성으로 몰고..."
증인으로 나온 조현오 당시 경기경찰청장은 농성 현장 경찰 투입을 위해 경찰청장을 건너뛰고 청와대에 직보했다고 밝혀 야당 의원들의 거센 비난을 받기도 했습니다.
[녹취:조현오, 전 경찰청장]
"BH에 얘기해서, 건의를 했습니다. 건의를 한 결과 BH에서 경찰청장한테 얘기했든지, 그래서 제가 8월5일 작전하기 바로 직전 그때 하지 말라고 하고서 한시간 뒤에 다시 번복 지시를 강희락 청장으로부터 받고 제가 작전한 겁니다."
해고자 복직에 대해 쌍용차 사측은 계속된 적자로 추가 고용은 어렵다며, 다음 달까지 법원에 내야 하는 무급 휴직자 임금 지급 방안도 아직 마련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기대와 관심 속에 어렵게 성사된 청문회였지만 여야의 공방 속에 쌍용차 사태에 대한 해결 방안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YTN 김도원[dohwo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회에서 열린 쌍용자동차 청문회에서는 대량 해고의 책임이 어디 있는지를 두고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당시 농성 진압을 지휘했던 조현오 전 경찰청장은 작전 상황을 청와대에 직보했다고 밝혀 거센 비판을 받았습니다.
김도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쌍용자동차 청문회는 정리해고 사태의 원인을 둘러싼 여야의 책임 공방으로 시작됐습니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이른바 '먹튀' 자본, 상하이차에 쌍용차를 넘긴 참여정부에 원죄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이완영, 새누리당 의원]
"당시 정세균 장관께서 특별협약을 해지해서 손쉽게 상하이차가 기술 유출만 해가고 제대로 경영도 못한 데 가장 첫째 원인이 있다 생각합니다."
민주통합당 의원들은 쌍용차가 자산가치를 일부러 40% 가까이 낮게 평가해 부채 비율을 높인 뒤 정리해고 명분으로 삼았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한명숙, 민주통합당 의원]
"쌍용자동차의 핵심은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엠비 정부의 친기업 반노동 정책이 반영된 것이다, 거기 뿌리내리고 있다고 결론을 내리고 싶습니다."
상하이차의 쌍용차 철수는 경제적 이유가 아니라 기술유출에 대한 노조의 반대와 검찰 수사, 정부의 비협조 때문이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녹취:심상정, 무소속 의원]
"정부는 더 큰 외교 분쟁을 원치 않았고, 산업은행은 채권 회수에 급급했고, 경영진은 책임회피를 하고 싶었기 때문에 그 책임을 물어야 해요, 누군가에게. 누구입니까 그게. 쌍용자동차 노조를 강성으로 몰고..."
증인으로 나온 조현오 당시 경기경찰청장은 농성 현장 경찰 투입을 위해 경찰청장을 건너뛰고 청와대에 직보했다고 밝혀 야당 의원들의 거센 비난을 받기도 했습니다.
[녹취:조현오, 전 경찰청장]
"BH에 얘기해서, 건의를 했습니다. 건의를 한 결과 BH에서 경찰청장한테 얘기했든지, 그래서 제가 8월5일 작전하기 바로 직전 그때 하지 말라고 하고서 한시간 뒤에 다시 번복 지시를 강희락 청장으로부터 받고 제가 작전한 겁니다."
해고자 복직에 대해 쌍용차 사측은 계속된 적자로 추가 고용은 어렵다며, 다음 달까지 법원에 내야 하는 무급 휴직자 임금 지급 방안도 아직 마련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기대와 관심 속에 어렵게 성사된 청문회였지만 여야의 공방 속에 쌍용차 사태에 대한 해결 방안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YTN 김도원[dohwo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