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통] '연예인 퇴출, 방송사 장악' 블랙리스트...검찰 수사 본격화!

[뉴스통] '연예인 퇴출, 방송사 장악' 블랙리스트...검찰 수사 본격화!

2017.09.18. 오후 7:1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이 만든 '연예인 블랙리스트'에 대한 수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명단에 오른 배우 문성근 씨는 오늘 첫 참고인 신분으로 검찰에 출두했습니다.

[문성근 / 배우 : 첫 번째는 경악스럽고 두 번째는 개탄스럽습니다. 국정원이 내부 결재를 거쳐서 음란물을 제조유포게시를 한 거죠. 이명박 정권의 수준이 일베와 같은 것이 아니었나. 세계만방에 국격을 있는대로 추락시킨 것에 대해서 개탄스럽게 생각합니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만들어진 국정원 적폐청산 태스크 포스팀은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 당시 국정원이 김주성 기조실장 주도로 이른바 '좌파 연예인 대응 TF'를 만든 사실이 드러났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MB 정부를 비판하거나 특정 정파를 지지하는 연예인들을 대중문화예술계에서 활동하지 못하도록 했다는 것입니다.

[문성근 / 배우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 : 믿어지지 않는 거죠. 믿어지십니까, 이게? 아마 해외 토픽에 지금쯤 나오지 않았을까 싶은데…. (방송 출연이 안 돼) 집 팔았어요. 집 있었으니까. 단독주택 멀쩡한 거 갖고 있었는데 지금 오피스텔로 옮겼으니까. 저는 괜찮은데 저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피해를 받는 게 힘든 거죠. 참여 정부 때 제가 영화나 드라마에 출연을 했는데, 모든 회사가 세무조사를 받았으니까요.]

문성근 씨는 이명박 정부 시절 '좌파 연예인'으로 분류돼 블랙리스트에 올랐습니다.

당시 국정원은 배우 문성근과 김여진의 합성 나체 사진까지 만들어 인터넷에 유포한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습니다.

의도는 무엇이었을까요?

[이기정 / YTN 보도국 선임기자 : 그 당사자 배우로서는 정말 씻을 수 없는 모욕감을 느꼈을 것이고. 그것은 연예인들이라든지 배우들은 이미지를 먹고사는 직업인데 그것을 실추를 시켰다는 것은 앞으로 유사한 예를 들어 정부에 대해서 친우호적이지 않을 경우는 이미지를훼손시켜서라도 당신을 여기서 퇴출시키겠다. 이런 정도의 어떤 고도의 심리전이 작용됐다 이렇게 볼 수 있는데.]

문성근씨 외에 퇴출 대상 인사에는 방송인 김구라, 김제동 씨, 영화감독 이창동, 박찬욱 씨, 배우 명계남 씨를 포함한 82명의 이름이 담겨 있습니다.

방송인 김미화 씨 또한 '블랙리스트'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미화 / 방송인 (2010년) : 김미화는 KBS 내부에 출연금지 문건이 존재하고 돌고 있기 때문에 출연이 안 된답니다.]

김 씨는 2010년에도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김미화는 KBS 내부에 출연금지 문건이 존재하기 때문에 출연이 안 된답니다"라는 글을 올려 파문이 일었습니다.

당시 KBS는 이 발언을 문제 삼아 김 씨를 경찰에 고소했고, 김 씨는 2011년에는 8년간 진행해온 MBC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하차하면서 외압 논란이 일었습니다.

내일 김미화 씨에 대한 검찰 조사에서 7년 전 제기된 의혹이 밝혀질지 주목됩니다.

[김미화 / 방송인 (지난 2010년) : 어느 날 KBS에 제가 출연할 수 없다는 말을 들었을 때 적어도 물어볼 수 있는 권리 정도는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만약 그날 트위터에 올렸던 저의 개인적인 푸념이 대한민국에서 죄가 된다면 기꺼이 수갑을 차겠습니다. 임원회의 결정사항 뒤에 '정말 블랙리스트라는 것이 존재하고 있어 불이익을 당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하다'고 물은 것뿐입니다.]

블랙리스트에 대한 검찰 수사가 속도를 내면서 새로운 사실도 수면 위로 오르고 있습니다.

연예인뿐 아니라 방송사의 주요 간부와 PD들에 대한 블랙리스트도 있었다는 겁니다.

원세훈 전 원장 당시, MBC 등 공영방송의 인사 개입 방향을 담은 문건이 생산됐고, 이 문건에는 핵심 경영진 교체에 관한 내용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방송사 PD들의 성향도 파악돼 이들을 통해 연예인 출연을 결정하는 블랙리스트가 관리됐을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연예인 퇴출과 방송사 장악에 사용된 '블랙리스트'가 검찰 수사를 통해 실체가 낱낱이 드러날지, 그 책임은 원세훈 전 원장을 넘어 청와대 고위층 어디까지 확대될지 주목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