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하러 서울까지?...연구소 영상회의 도입

회의하러 서울까지?...연구소 영상회의 도입

2015.04.01. 오전 00: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실험에 몰입해야 할 연구원이 회의 때문에 시간을 뺏기는 일이 있으면 안 되지만 실제 대덕 연구단지에서 일어나는 일입니다.

이 때문에 정부 출연연구기관을 담당하고 있는 미래부가 영상회의를 공식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양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국가 연구개발 사업 회의가 열리는 사무실.

3개월에 한 번씩 모든 연구사업을 총괄하는 책임자들이 모이는 자리입니다.

회의에 참석해야 하는 사람은 모두 33명.

그런데 이번에는 14명만 자리를 같이했습니다.

서울이 아닌 지방에 있는 연구원 19명은 영상으로 회의에 참석한 덕분입니다.

영상 회의지만 모두 한 자리에 모인 듯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받습니다.

[인터뷰:김성규, 미래부 기초연구진흥과장]
"원천연구에서는 기획연구를 한두 달만에 한다는 것이 쉽지 않을 텐데, 어떻게 그 부분을 (할 것인가요?)"

[인터뷰:최원철, 한국연구재단 원천연구사업단장]
"제가 그 부분은 답변하는 게 좋을 것 같아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대전에 있는 연구소 책임자들이 서울에서 열리는 회의에 참석하려면 꼬박 하루를 비워야 합니다.

그만큼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줄 수밖에 없습니다.

이처럼 영상회의는 서울과 대전의 지리적인 단점은 물론 출장에 따른 시간과 비용까지 모두 줄일 수 있습니다.

[인터뷰:고서곤, 미래부 연구개발정책과장]
"비정기적인 회의처럼 갑자기 논의를 해야 한다 했을 경우, 어떻게 보면 이때가 더 필요성이 있어 보이는데, 이럴 때 영상회의를 통해서 회의하면 좀 더 효율적일 거라고 봅니다."

미래부는 앞으로 지방 산하기관과의 회의를 영상회의로 대체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간단한 내용은 문서 없이 보고하고 현실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며, ICT 기술을 활용해 업무 효율을 높이기로 했습니다.

보고 횟수도 3회 미만으로 줄이고, 보고 뒤 조치나 타 부서와의 협업도 3일 이내에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인터뷰:장석영, 미래부 정책기획관]
"산하 공공기관과는 영상회의를 활성화해서 거리감을 해소하고 실질적인 정책협의가 가능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성과 위주로 업무를 수행하는 수평적인 조직문화가 정착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ICT 기술을 활용한 영상 회의 시스템과 빠른 행정 처리가 연구원에게 더 많은 시간을 돌려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YTN science 양훼영[hwe@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