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인터뷰:전명선, 세월호 희생자 가족]
"돈 몇 푼 더 받아내려고 농성하는 유가족으로 호도하려는 의도가 분명한 정부의 행태에 분노하고 또 분노합니다."
어제 기자회견에서 세월호 참사 희생자 가족들은 정부의 배상, 보상안 발표에 강하게 반발했는데요.
정부는 세월호 1주기를 앞두고 유족들의 생계 유지 등을 고려해 보상안을 발표했지만, 유족들은 먼저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독립성 훼손 논란도 일고 있는 세월호특별법 시행령의 폐지와 선체 인양을 요구했는데요.
[인터뷰:권영빈, 철회요구안 찬성]
"실제로 진상 규명 업무에 관해서 지휘·감독할 근거가 하나도 없습니다. 이것은 굉장히 심각한 문제입니다."
[인터뷰:조대환, 철회요구안 반대]
"진상 조사와 제도 마련 등 지원·점검 업무가 빨리 정상화돼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정원 90명으로 출발하고..."
유족들이 철회를 요구하는 세월호 시행령, 우선 진상규명을 담당한 특위 인력을 두고 의견이 갈리는데요.
일단 정부는 최대 정원인 120명이 아닌 90명으로 시작한 뒤, 필요에 따라 조절하자는 입장이지만, 유족들은 한시적 기구인 만큼 충분한 인력이 필요하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또 정부는 미국 9·11 테러 조사위도 80명 정도였던 만큼 90명은 적지 않다는 입장인데요.
유족들은 테러와 안전 대응 문제는 성격이 다르다며 반발하고 있는 건데요.
이렇게 시행령에서 인원이 줄어든 것은 조직 규모가 기존의 3국 11과에서 1실 1국 5과로 줄었기 때문입니다.
전체 인력 90명 가운데 공무원이 42명으로 민간인보다 많다는 부분도 유가족의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정부도 조사 대상인데 공무원 인력이 많은 것은 특위의 독립성을 저해하는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인터뷰:허흥환, 세월호 실종자 가족]
"세월호 안에는 9명의 실종자가 아직 남아있다는 것, 그것을 포기할 수 없습니다. 정부와 대통령은 약속을 꼭 지켜주십시오."
유가족들은 침몰한 선체의 인양도 요구하고 있는데요.
해양수산부는 선체 처리의 경우 기술적인 검토와 의견 수렴 및 공론화 과정을 거쳐 결정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당초 지난달 말이면 끝날 예정이라던 기술 검토가 계속 늦어지면서 유족들의 애를 태우고 있는데요.
약 1년의 기간에 12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인양 비용도 부담이 적지 않아서 실제 인양이 이뤄질지 여부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돈 몇 푼 더 받아내려고 농성하는 유가족으로 호도하려는 의도가 분명한 정부의 행태에 분노하고 또 분노합니다."
어제 기자회견에서 세월호 참사 희생자 가족들은 정부의 배상, 보상안 발표에 강하게 반발했는데요.
정부는 세월호 1주기를 앞두고 유족들의 생계 유지 등을 고려해 보상안을 발표했지만, 유족들은 먼저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독립성 훼손 논란도 일고 있는 세월호특별법 시행령의 폐지와 선체 인양을 요구했는데요.
[인터뷰:권영빈, 철회요구안 찬성]
"실제로 진상 규명 업무에 관해서 지휘·감독할 근거가 하나도 없습니다. 이것은 굉장히 심각한 문제입니다."
[인터뷰:조대환, 철회요구안 반대]
"진상 조사와 제도 마련 등 지원·점검 업무가 빨리 정상화돼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정원 90명으로 출발하고..."
유족들이 철회를 요구하는 세월호 시행령, 우선 진상규명을 담당한 특위 인력을 두고 의견이 갈리는데요.
일단 정부는 최대 정원인 120명이 아닌 90명으로 시작한 뒤, 필요에 따라 조절하자는 입장이지만, 유족들은 한시적 기구인 만큼 충분한 인력이 필요하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또 정부는 미국 9·11 테러 조사위도 80명 정도였던 만큼 90명은 적지 않다는 입장인데요.
유족들은 테러와 안전 대응 문제는 성격이 다르다며 반발하고 있는 건데요.
이렇게 시행령에서 인원이 줄어든 것은 조직 규모가 기존의 3국 11과에서 1실 1국 5과로 줄었기 때문입니다.
전체 인력 90명 가운데 공무원이 42명으로 민간인보다 많다는 부분도 유가족의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정부도 조사 대상인데 공무원 인력이 많은 것은 특위의 독립성을 저해하는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인터뷰:허흥환, 세월호 실종자 가족]
"세월호 안에는 9명의 실종자가 아직 남아있다는 것, 그것을 포기할 수 없습니다. 정부와 대통령은 약속을 꼭 지켜주십시오."
유가족들은 침몰한 선체의 인양도 요구하고 있는데요.
해양수산부는 선체 처리의 경우 기술적인 검토와 의견 수렴 및 공론화 과정을 거쳐 결정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당초 지난달 말이면 끝날 예정이라던 기술 검토가 계속 늦어지면서 유족들의 애를 태우고 있는데요.
약 1년의 기간에 12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인양 비용도 부담이 적지 않아서 실제 인양이 이뤄질지 여부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