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대학 퇴출 작업 시작

부실 대학 퇴출 작업 시작

2009.05.07. 오후 5:3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독자 생존이 어려운 부실대학을 퇴출시키는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오는 11월쯤 퇴출 대상이 정해질 것으로 보이는데 해당 대학들의 반발이 예상됩니다.

박경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전국 347개 대학 가운데 입학 정원을 제대로 채우지 못한 대학은 130여 곳에 이릅니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재정이 열악하거나 분규에 시달리는 등 학사운영이 파행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대학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못하는 곳을 통합하거나 퇴출시키는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변호사 등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별도의 위원회를 만들어 대학 구조조정의 실무 작업을 맡기기로 했습니다.

[인터뷰:김태완 계명대교수, 대학선진화위원회위원장]
"우리 대학 교육이 잘 될 수 있는 여러 방안이 나올 수 있도록 여러분들이 좋은 의견을 내주시기를 바랍니다"

위원회는 우선 다음달 초까지 부실 대학 여부를 가릴 판정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이어 대학별로 실사를 진행하고 11월 쯤 부실 대학을 최종 판정할 계획입니다

교과부는 2016년부터 고등학교 졸업생 수가 대학 입학 정원보다 적어지는 현상이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돼 대학 구조조정을 더이상 늦출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송기동, 교과부 대학선진화과장]
"정상적인 학사 운영이 어려운 경우에는 학생들의 수업권을 보장하고 고등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위해 이런 방안을 추진하게 됐습니다"

교과부는 일단 사립대학의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유도하되 여의치않을 경우 강제 퇴출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부실대학으로 지목된 사학들이 강하게 반발할 것으로 보여 대학 구조조정 작업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YTN 박경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당.점.사 - 당신의 점심을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