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비엔날레로 미술의 향연이 한창인 광주에서는 상식을 깨는 전시가 함께 열려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참여 작가들의 작품이 지역의 한 재래시장 곳곳에 전시되면서 시장이 즐거운 미술관으로 변했습니다.
KCTV 광주방송 한지혜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헤라클레스 장미란 선수가 바벨 대신 점포 셔터를 활짝 들어올리고 전화번호 스티커는 꽃으로 피어났습니다.
남도 토속음식 홍어는 웃는 얼굴로 손님을 맞고 시장이면 다 있는 뻥튀기가 설치미술이 됐습니다.
이 곳은 2008광주비엔날레 복덕방 프로젝트가 열리고 있는 광주 대인시장.
올해 광주비엔날레 '제안' 섹션의 한 공공프로젝트로, 시장의 빈 점포들이 미술관으로 변했습니다.
[인터뷰:박성현, 2008광주비엔날레 복덕방프로젝트 큐레이터]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예술과 상인들의 만남, 그 만남에서 서로가 소통될 수 있다라면 예술이라는 것이 삶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고 삶 속에서 연동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복덕방 프로젝트는 지역 재래시장에 첨단의 현대미술을 접목시키면서 예술과 시장의 상생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고 있습니다.
시장에 볼거리가 마련되자 손님이 늘었고 매상도 함께 올라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인터뷰:노순애, 대인시장 상인]
"빈 점포 있는 것보다 사람들 왔다 갔다 하니까 물건 하나라도 더 팔고 낫죠. 사람들이 와서 즐거워 하니까 우리도 기쁘고..."
시장 안에 아예 작업실을 차린 작가들도 있습니다.
상인들과의 소통을 통한 작품으로 자신과 지역 시장을 동시에 알리겠다는 포부입니다.
[인터뷰:노정숙, 대인시장 입주작가]
"일반 사람들과 같이 향유하고 소통하고 그런 과정들을 워크숍을 통해서 알려준다는 과정이 뜻있다고 보고요, 이것을 통해서 시장이 활성화 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어서..."
가진 사람들만의 것이 아닌 모두의 일상으로 녹아든 경계 없는 예술이 진정한 문화강국을 만드는 자양분이 되고 있습니다.
KCTV뉴스 한지혜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비엔날레로 미술의 향연이 한창인 광주에서는 상식을 깨는 전시가 함께 열려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참여 작가들의 작품이 지역의 한 재래시장 곳곳에 전시되면서 시장이 즐거운 미술관으로 변했습니다.
KCTV 광주방송 한지혜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헤라클레스 장미란 선수가 바벨 대신 점포 셔터를 활짝 들어올리고 전화번호 스티커는 꽃으로 피어났습니다.
남도 토속음식 홍어는 웃는 얼굴로 손님을 맞고 시장이면 다 있는 뻥튀기가 설치미술이 됐습니다.
이 곳은 2008광주비엔날레 복덕방 프로젝트가 열리고 있는 광주 대인시장.
올해 광주비엔날레 '제안' 섹션의 한 공공프로젝트로, 시장의 빈 점포들이 미술관으로 변했습니다.
[인터뷰:박성현, 2008광주비엔날레 복덕방프로젝트 큐레이터]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예술과 상인들의 만남, 그 만남에서 서로가 소통될 수 있다라면 예술이라는 것이 삶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고 삶 속에서 연동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복덕방 프로젝트는 지역 재래시장에 첨단의 현대미술을 접목시키면서 예술과 시장의 상생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고 있습니다.
시장에 볼거리가 마련되자 손님이 늘었고 매상도 함께 올라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인터뷰:노순애, 대인시장 상인]
"빈 점포 있는 것보다 사람들 왔다 갔다 하니까 물건 하나라도 더 팔고 낫죠. 사람들이 와서 즐거워 하니까 우리도 기쁘고..."
시장 안에 아예 작업실을 차린 작가들도 있습니다.
상인들과의 소통을 통한 작품으로 자신과 지역 시장을 동시에 알리겠다는 포부입니다.
[인터뷰:노정숙, 대인시장 입주작가]
"일반 사람들과 같이 향유하고 소통하고 그런 과정들을 워크숍을 통해서 알려준다는 과정이 뜻있다고 보고요, 이것을 통해서 시장이 활성화 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어서..."
가진 사람들만의 것이 아닌 모두의 일상으로 녹아든 경계 없는 예술이 진정한 문화강국을 만드는 자양분이 되고 있습니다.
KCTV뉴스 한지혜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