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종전선언은 정치적 선언...트럼프, 결단해야"

北 "종전선언은 정치적 선언...트럼프, 결단해야"

2018.08.18. 오후 5:0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북한이 종전선언은 정치적 선언일 뿐이라는 입장을 처음으로 내놨습니다.

종전선언을 더 쉽게 끌어내고, 그 대가로 추가적인 비핵화 조치를 요구하는 미국의 기대치도 낮추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둘러 종전을 선언하자며 연일 미국을 압박하는 북한이 종전선언은 정치적 선언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개인 논평을 통해 미국 내에서 대통령이 약속한, 한갓 정치적 선언에 불과한 종전선언마저 방해하는데 어떻게 북·미 관계의 앞날을 낙관할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의 교착 국면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종전선언을 놓고, 정부는 줄곧 정치적 선언일 뿐이라고 밝혀왔지만, 북한 스스로 무게감을 낮춘 것은 처음입니다.

종전선언을 하더라도 당장 유엔사 해체나 군축 등 군사적인 압박을 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짐작될 수 있는 대목입니다.

동시에 미국이 종전선언의 대가로 요구하는 비핵화 조치의 수준도 덩달아 낮추려는 포석으로 풀이됩니다.

[신범철 /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 종전선언의 정치적 가치를 너무 부여할 경우 북한으로선 자신들에게 부여되는 비핵화 요구가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종전선언의 정치적 의미를 축소하면서) 자신들의 비핵화 조치는 단계적이고 동시적인 (핵물질 생산 중단과 같은) 방향으로 가면서 타협을 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북·미 간 물밑접촉이 진행 중인 가운데 북한이 내놓을 추가 비핵화 조치에도 관심입니다.

앞서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는 핵 시설 명단 제공을 예로 들었지만, 북한은 이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명단 일부분만 제시하거나 핵 물질 생산 중단 같은 다른 상응 조치를 제시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노동신문은 이와 관련해 조만간 방북할 예정인 폼페이오 장관이 강경파의 요구에 휩쓸리지 말고 주관과 배짱을 갖고 협상력을 발휘하라고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YTN 김지선[sunkim@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