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북한이 오늘 노동당 설립 69주년을 맞아 기념행사를 진행하는데요, 한 달이 넘게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오늘도 등장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호준 기자!
북한 김정은 제1위원장이 공식석상에서 자취를 감춘 게 벌써 37일째에 접어들지 않았습니까?
오늘 새벽 금수산궁전 참배를 하지 않은 것 같다고요?
[기자]
김정은 제1위원장은 매년 당 창건 기념일마다 해오던 금수산태양궁전 참배를 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은 오늘 당창건 69주년을 맞아 기념행사를 진행합니다.
올해는 5년 주기마다 성대하게 행사하는 정주년이 아니기 때문에 별다른 부대행사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럴 때는 보통 자정부터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하는 것이 주요행사인데요.
김 위원장은 오늘 참배를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 제1위원장은 집권 첫해인 2012년과 지난해 모두 당창건일에는 새벽에 군 간부들과 함께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고 조선중앙통신은 이 소식을 아침이 되기 전에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북한 매체들은 아직까지 김정은의 이런 소식을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관련 소식을 좀 늦게, 어떨 때는 하루가 지나 보도하는 과거 사례가 있는 만큼 예단할 수는 없지만 현재까지는 김정은 제1위원장이 10월10일 당 창건일에도 등장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렇게 장기간 김 위원장의 모습이 보이지 않자 여러 의혹들이 나오고 있죠?
[기자]
지난달 3일 이후 37일동안 자취를 감춘 김정은을 둘러싸고 쿠데타설과 정변설, 통풍설과 발목수술설, 뇌질환의 종류인 뇌어혈설 등 갖가지 추측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지난 7일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에서 김정은이 평양 북쪽 모처에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혀 건강이상설에 무게를 실었습니다.
실제로 김정은이 자취를 감추기 전 북한 조선중앙TV는 다리를 저는 김정은의 모습을 보여주며 불편하신 몸으로도 현지지도에 나서는 김정은을 찬양한 적이 있습니다.
북한이 이례적으로 김정은의 건강이상을 확인한 것입니다.
외부에서 지금까지는 김정은의 발목수술 등 정형외과적인 건강이상을 예측해왔지만 이렇게 은둔 기간이 길어지자 이른바 중풍 같은 뇌혈관 장애로 얼굴에 약간의 변형이 오거나 언어 장애가 와서 대중 앞에 나서지 않을 수 있다는 추측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평양을 봉쇄했다는 소식이 알려져 주목되고 있습니다.
북한이 노동당 창건 69주년을 맞아 전국에 특별경비주간을 선포하고 주민 이동을 차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가적인 명절 때 특별경비주간이 내려지곤 했는데요.
주로 5년주기인 정주년 때 내려지는데 이번에는 정주년이 아니어도 경계령이 내려져 그 배경에 관심이 가고 있습니다.
오늘 북한의 창 당건일에도 김정은 제1위원장이 모습을 보이지 않음에 따라 그를 둘러싼 여러 의혹들은 더욱 증폭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통일부에서 YTN 김호준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북한이 오늘 노동당 설립 69주년을 맞아 기념행사를 진행하는데요, 한 달이 넘게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오늘도 등장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호준 기자!
북한 김정은 제1위원장이 공식석상에서 자취를 감춘 게 벌써 37일째에 접어들지 않았습니까?
오늘 새벽 금수산궁전 참배를 하지 않은 것 같다고요?
[기자]
김정은 제1위원장은 매년 당 창건 기념일마다 해오던 금수산태양궁전 참배를 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은 오늘 당창건 69주년을 맞아 기념행사를 진행합니다.
올해는 5년 주기마다 성대하게 행사하는 정주년이 아니기 때문에 별다른 부대행사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럴 때는 보통 자정부터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하는 것이 주요행사인데요.
김 위원장은 오늘 참배를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 제1위원장은 집권 첫해인 2012년과 지난해 모두 당창건일에는 새벽에 군 간부들과 함께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고 조선중앙통신은 이 소식을 아침이 되기 전에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북한 매체들은 아직까지 김정은의 이런 소식을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관련 소식을 좀 늦게, 어떨 때는 하루가 지나 보도하는 과거 사례가 있는 만큼 예단할 수는 없지만 현재까지는 김정은 제1위원장이 10월10일 당 창건일에도 등장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렇게 장기간 김 위원장의 모습이 보이지 않자 여러 의혹들이 나오고 있죠?
[기자]
지난달 3일 이후 37일동안 자취를 감춘 김정은을 둘러싸고 쿠데타설과 정변설, 통풍설과 발목수술설, 뇌질환의 종류인 뇌어혈설 등 갖가지 추측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지난 7일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에서 김정은이 평양 북쪽 모처에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혀 건강이상설에 무게를 실었습니다.
실제로 김정은이 자취를 감추기 전 북한 조선중앙TV는 다리를 저는 김정은의 모습을 보여주며 불편하신 몸으로도 현지지도에 나서는 김정은을 찬양한 적이 있습니다.
북한이 이례적으로 김정은의 건강이상을 확인한 것입니다.
외부에서 지금까지는 김정은의 발목수술 등 정형외과적인 건강이상을 예측해왔지만 이렇게 은둔 기간이 길어지자 이른바 중풍 같은 뇌혈관 장애로 얼굴에 약간의 변형이 오거나 언어 장애가 와서 대중 앞에 나서지 않을 수 있다는 추측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평양을 봉쇄했다는 소식이 알려져 주목되고 있습니다.
북한이 노동당 창건 69주년을 맞아 전국에 특별경비주간을 선포하고 주민 이동을 차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가적인 명절 때 특별경비주간이 내려지곤 했는데요.
주로 5년주기인 정주년 때 내려지는데 이번에는 정주년이 아니어도 경계령이 내려져 그 배경에 관심이 가고 있습니다.
오늘 북한의 창 당건일에도 김정은 제1위원장이 모습을 보이지 않음에 따라 그를 둘러싼 여러 의혹들은 더욱 증폭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통일부에서 YTN 김호준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