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동포의 귀화, 어떻게 볼 것인가?

디지털 코리안 타운
디지털 코리안 타운
2017.11.20. 오전 08:40
글자크기설정
현재 일본에는 한국국적을 가진 재일동포가 30만 명 가량이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 국적 재일동포는 해마다 크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매년 5천 명 가량이 일본으로 귀화하기 때문이죠.

재일동포에게 국적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글로벌 시대 귀화를 어떻게 봐야할지 재일동포 교수 3명에게 직접 들어봤습니다.

[녹취 구성]

[서경식/도쿄 경제대학 교수] "귀화라는 게 자유로운 선택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귀화 안 해도 될 사람들이 귀화할 수밖에 없게 된, 그러니까 강요당한 선택이었다는(것이죠)."

[유혁수/요코하마 국립대학 교수] "국적 취득에 대해서 너무 부정적으로 생각할 필요가 없는 것이거든요. 문제는 이제 일본에서는 지금까지 귀화는 곧 동화다, 일본인이 되는 것이었죠."

[박일/오사카 시립대학 교수] "오히려 이렇게 국제적으로 활약할 수 있는 인재를 원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국적인 채로 살아가려고 하는 젊은이들도 적지 않게 있습니다."

일본에는 재일동포 45만여 명이 살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30만 명은 특별영주권을 갖고 있습니다.
특별영주권은 식민지에서 해방되기 전 일본으로 이주했다가 1952년 발효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으로 일본 국적을 상실한 조선인과 그 후손에게 주어진 일본 영주 자격입니다. 이 특별영주권을 갖는 재일동포들을 우리는 흔히‘올드커머’라 부릅니다. 1965년 한일협정 이후 일본으로 건너간 이른바‘뉴커머’한국인과 구별됩니다.

[유혁수/요코하마 국립대학 교수] "살아온 과정들이 다르니까 그분들이 특별히 느끼고 있는 특별한 어떤 정체성이라 할까요. 뉴커머들하고는 금방 어울리기에는 어려운 그런 부분이 있으니까 일단 올드커머, 뉴커머를 당분간은 구분해서 재일동포를 파악하는 그 자체는 저는 일리가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일본에 사는 올드커머 재일동포의 후손은 대부분 한국어를 쓸 줄 모릅니다. 태어났을 때부터 일본 문화만을 접하고 자라났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