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정부 요금이 더 비싼 아이러니... 전기차 차주 '대혼돈'
2023년 09월 29일 오후 01시 52분
자막뉴스
와플뉴스
전기차 운전자들은 상황에 따라 급속 충전과 완속 충전을 모두 사용합니다.
제한시간 내 빠른 충전이 가능한 '급속 충전기'는 주로 고속도로 휴게소나 대규모 상업시설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느린 대신 오랜 시간 주차할 수 있는 '완속 충전기'는 아파트나 공용주택 등 주로 주거지역에 설치됩니다.
소비자 입장에선 완속 충전기를 이용할 때 더욱 저렴한 요금을 기대하기 마련입니다.
[이재인 / 전기차 개인택시 운전자 : 완속 충전이 아무래도 불편하죠. 시간이 많이 걸리니까. 그렇게 되면 좀 싸야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실제로 민간 충전소 요금 평균을 보면, 30kW 이하 완속 충전은 kWh당 245.8원, 급속은 325.2원, 초급속 충전은 338.2원으로 세분화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환경부와 한국전력은 완속 충전기와 급속 충전기 모두 Kwh당 324.4원으로 같은 요금을 받고 있습니다.
완속 충전기를 매주 2번씩 1년 동안 사용할 경우, 민간충전소를 이용할 때보다 최대 20만 원, 1.5배 정도 더 많은 돈을 내야 하는 셈입니다.
용량별 요금을 세분화한 민간업체와 달리 정부는 100kW 미만 충전기에 대해 모두 같은 요금을 부과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민간 사업자들이 정부 안을 기준으로 요금을 개편한다는 겁니다.
[전기차 충전소 민간 사업자 : 매년 정할 수도 있고요. 아니면 한전이 두 번 올리면 두 번 올릴 수도 있고. 우리뿐만 아니라 다른 회사들도 그렇게 비슷하게 움직일 거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