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1년...'서울형 방역'의 명과 암

팬데믹 1년...'서울형 방역'의 명과 암

2021.01.20. 오전 02:5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서울시, '이태원 집단감염' 계기로 익명 검사 첫 도입
"무증상 감염 선제 대응"…'풀링 검사' 기법 확대 도입
서울시 마스크 착용 홍보 포스터 '호평'…전국 배포
AD
[앵커]
코로나19의 여파를 가장 크게 받은 건 아무래도 수도 서울입니다.

서울시는 서울형 방역, 이른바 'S-방역'을 내세우며 다양한 대응을 해왔는데요.

서울시의 방역 1년을 뒤돌아봤습니다.

구수본 기자입니다.

[기자]
이태원 일대 클럽 발 집단감염이 무섭게 번지던 지난해 5월.

클럽 방문자들이 신상 노출을 우려해 검사를 꺼리자 서울시는 전화번호만 적도록 해 검사를 유도했습니다.

일 평균 천여 건이던 서울의 일일 검사 건수는 익명검사 도입 후 대폭 증가해 11일 6천5백여 건, 12일에는 8천3백여 건으로 늘었습니다.

자발적 검사를 끌어낸 익명검사는 이후 임시선별진료소에까지 이어졌습니다.

서울시는 또 무증상 감염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군과 요양시설에 제한적으로 적용하던 '풀링 검사' 기법을 확대 도입하기도 했습니다.

'어느 마스크를 쓰시겠습니까?'

대비되는 모습을 배치한 서울시 방역 포스터는 참신하다는 호평을 받으며 전국에 배포됐습니다.

이후 추석 때도, 핼러윈데이 때도 서울시 포스터는 재치와 의미를 모두 잡으며 시민들이 지칠 때마다 경각심을 일깨웠습니다.

그러나 방역을 위해 도심 일부 구역 집회를 제한해온 서울시가 지난해 7월 서울광장에 박원순 전 시장 분향소를 설치하자 서울시 스스로 감염병예방법을 어겼다는 비판이 쏟아졌고,

지난해 11월에는 서울 일일 확진자 수가 78일 만에 세 자릿수로 늘어난 원인을 3달 전 광복절 집회로 꼽아 바이러스가 정치 성향 따라 움직이느냐는 비아냥을 들었습니다.

[박유미 / 서울시 시민건강국장 (지난해 11.19) : 핼러윈 데이나 지난 주말 도심 (민주노총) 집회와는 연관성이 있는 것은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고요. 8.15(집회)와 그때 많이 발생했을 때 아마 지역사회에 꽤 많이 잔존 감염을 시켜놨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또 공격적인 확진자 동선 공개로 프라이버시를 침해하거나 특정 종파에만 선별적 방역 조치를 취한다는 비판도 받았습니다.

올해 내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팬데믹 상황과 함께 서울시가 풀어야 할 숙제들입니다.

YTN 구수본[soobon@ytn.co.kr]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