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5주기...특별수사단이 제기한 의혹

세월호 참사 5주기...특별수사단이 제기한 의혹

2019.04.16. 오후 1:4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오점곤 기자
■ 출연 : 김범환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지금부터는 이곳에서 세월호 관련 이야기를 잠깐 나누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도 저희 YTN에서 세월호 관련 기사 보도를 가장 많이 한 기자 아닌가 싶은데요. 김범환 기자가 지금 제 옆에 나와 있습니다. 김범환 기자 어서 오십시오. 먼저 2014년에 당시 검찰의 수사가 있지 않았었습니까? 아직까지 세월호의 침몰 원인, 어느 정도 나온 내용도 있지만 정확하게는 이거다라고 나온 건 없지 않습니까, 어떻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당시에 검찰과 경찰은 사고 직후에 합동수사본부를 꾸려서 대대적인 수사에 나섰습니다. 사고 원인에 대한 정밀 감정을 위해서 학계 등 11명으로 전문가 자문단도 구성했는데요. 사고 당시 상황을 시뮬레이션해보기도 했습니다.

당시 검찰이 밝힌 사고 원인은 크게 5가지로 나타났습니다. 첫 번째는 일본에서 18년 이상을 쓴 낡은 선박을 수입해서 무리하게 수리하고 증축하면서 탑승 정원이 117명, 또 총 톤수는 239톤이나 늘어나면서 선체의 좌우 균형이 맞지 않게 됐다는 거였습니다. 두 번째는 사고 당일에 최대화물적재량의 배에 가까운 2100여 톤의 과적이 꼽혔고요. 세 번째는 선체 복원에 필요한 평형수, 이 평형수를 1300톤이나 빼내버린 점, 그리고 네 번째는 차량과 컨테이너 등을 제대로 동여매지 않아서 선체의 복원성이 크게 악화된 상태였고 다섯 번째는 이런 상태에서 사고 해역을 지날 때 선장이 선실을 이탈하고 항해사와 조타수의 실수로 과도하게 방향타를 돌리는 등 운항사 과실이 더해져 침몰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합동수사본부는 사고 6개월 뒤에 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모두 400여 명을 입건해서 세월호 이준석 선
장 등 150여 명을 구속 기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당시에 수사도 하고 이렇게 구속 기소도 했었는데 지금 세월호 가족협의회에서는 특별수사단이라는 구체적인 명칭까지 하면서 다시 조사, 수사를 해달라라고 요구를 하고 있는데 어떤 의혹들을 구체적으로 제기하고 있는지 짚어주시죠.

[기자]
세월호 가족협의회 등은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아직 진실이 인양되지 않았다, 이런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어제 세월호 4.16연대는 사고 책임자 1차 명단 18명을 발표했는데요. 이들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사고의 원인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는데요. 책임자로 지목된 18명 가운데 청와대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과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등 5명이 포함됐습니다. 또 당시 현장에서 아니면 지휘를 하면서 적극적으로 구조하지 않은 김석균 전 청장 등 해양경찰청이 8명이 포함됐고요. 정부 측 인사로는 황교안 전 법무장관, 이주영 전 해양수산부 장관, 남재준 전 국정원장, 전 기무사령부 장군 등 7명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4.16연대는 당시 현장에 출동했던 P123 경정인데요. 고성능 스피커를 단 구조 헬기가 현장에 있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월호 탈출을 알려줄 골든타임을 놓친 책임자가 단지 당시에 경비정 정장 이 한 명뿐이었느냐, 이건 말이 안 된다, 이렇게 주장하고 있습니다. 4.16연대는 공소시효가 끝나기 전에 실무자가 아닌 정부의 책임자가 응분의 대가를 치러야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는다고 이렇게 주장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보면 선체 침몰 원인과 관련해서 유가족들은 배의 좌우 균형을 잡아주는 장치가 있는데 왜 정상 각도의 두 배 이상이나 돌아가 있었는지, 또 방향타를 조절하는 밸브는 왜 언제 왜 작동을 멈추고 말았는지 또 선체 외부가 패인 원인은 무엇인지, 또 뱃머리 왼쪽의 방향이 제각각으로 긁힘은 왜 생겼는지 이런 5가지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세월호 참사 원인은 이처럼 선체 내부적 원인이 주로 언급이 됐었는데 혹시 밖에서 알 수 없는 외력 때문에 사고가 난 것은 아닌지도 밝혀달라고 4.16연대는 요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 진상규명에 대한 얘기는 오늘 문재인 대통령도 의지를 다시 한 번 밝혔기 때문에 앞으로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될 것 같고요. 지금 김범환 기자하고 저 지금 저 보이는 게 세월호이지 않습니까? 2년 전에 인양이 됐는데 지금 아까도 저도 얘기했지만 시뻘겋게 녹슬어 있는데 좀 위험해 보이기도 하고요, 저도 가까이 가보니까. 이 세월호가 앞으로 여기 계속 있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어떻게 되는 겁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세월호는 안에는 내부 적채물들을 모두 드러냈기 때문에 사실상 껍데기밖에 없습니다.

[앵커]
주변에 있는 게 그런 것들인가 보죠?

[기자]
그렇습니다. 화물도 들어냈기 때문에 껍데기만 있어서 움직이기만 해도 내려앉을 듯한 그런 상황인데요. 세월호는 여기에 계속 둘 수는 없고 어떻게든지 처리가 돼야 됩니다. 하지만 세월호를 어떻게 처리할까. 이 문제는 세월호 인양이나 침몰 원인 규명만큼 어려운 문제로 보입니다.

우선 어디에 둘 것인가가 문제입니다. 맨 먼저 꼽히는 곳이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온 단원고가 있는 안산입니다. 안산에는 4.16 생명공원이 들어설 예정이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여기는 제가 듣기로 주민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희생자들이 실려온 진도 팽목항 부근에 세워지는 국민안전체험관 일대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또 인천과 이곳 목포도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데요. 하지만 트라우마 때문에 세월호 거치 장소를 놓고 지역마다 주민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세월호 거치 장소는 앞으로 선체조사위원회에서 결정을 하게 될 텐데 여론조사 등을 통해서, 공론화과정을 거쳐서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보시는 것처럼 이렇게 선체가 크기 때문에 육상으로 한 번에 옮길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해체한 뒤에 다시 조립하는 그런 절차를 거쳐야 하고요. 세월호와 관련 있는 지역에 여러 곳에 나뉘어 분산 전시될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김범환 기자하고 이야기는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