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의 비극..."명예회복 ·진상규명 부족"

현대사의 비극..."명예회복 ·진상규명 부족"

2019.04.03. 오후 7:3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제주 4·3은 우리 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 피해가 컸던 사건으로 꼽힙니다.

지난 2000년 특별법이 제정돼 본격적인 진상조사가 이뤄지고 있지만, 제주도민은 여전히 명예회복과 진상규명이 부족하다고 말합니다.

보도에 유종민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1947년 3·1절 기념식에서 경찰의 발포사건으로 촉발된 제주 4·3.

사회주의와 우파의 갈등으로 7년이나 이어진 무력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당시 제주도민의 1/10이 희생당했습니다.

대부분 이념이 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었습니다.

[한정자 / 유족 : 아무 이유도 없이 순경들이 (큰아버님을) 바닷가로 끌고 가 총으로 쏴 죽였다고 들었습니다.]

[김수광 / 유족 : 큰 형님이 대전 형무소로 끌려간 뒤 내의를 보내달라고 편지가 왔는데 그 이후 6·25가 터지면서 행방불명됐습니다.]

4·3은 '폭동'으로 낙인찍혀 반세기 동안 금기어에 가까웠습니다.

하지만 80년대 후반부터 민주화 운동으로 규정하는 움직임이 일었고, 2000년에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인 진상조사가 시작됐습니다.

지금까지 희생자 만 4천300여 명이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4·3 가족들은 여전히 명예회복과 진상규명이 부족하다고 주장합니다.

[송승문 / 4·3 유족회장 : 70여 평생 한 많은 삶을 살아온 8만여 희생자 유족들에게 따뜻한 봄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해 주길 바랍니다.]

정부에서는 제주도민들이 만족할 때까지 4·3의 진실을 채우고 명예를 회복하겠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를 해결할 4·3 특별법 개정안은 지난 2017년 발의된 뒤 여전히 국회에 계류 중입니다.

YTN 유종민[yoojm@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