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평창 올림픽 1년 후 '애물단지'로 전락한 경기장

[자막뉴스] 평창 올림픽 1년 후 '애물단지'로 전락한 경기장

2019.02.10. 오후 3:1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동계올림픽이 열린 지 1년.

강원도와 평창은 여전히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10조 원 넘는 예산이 들어간 기반 시설과 경기장 활용 문제 때문입니다.

제대로 운영되는 시설은 KTX와 고속도로뿐이라는 자조까지 나옵니다.

세계인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던 평창 개·폐회식장은 성화대만 남기고 이미 철거됐습니다.

그 자리에 올림픽 기념관 조성이 예정돼 있지만, 예산이 모자라 지지부진합니다.

2천억 원이 든 가리왕산 스키장은 갈등의 핵심으로 떠올랐습니다.

복원과 존치 사이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땅 주인인 산림청이 복원을 추진하자 정선 주민은 투쟁위원회를 구성해 반발하고 있습니다.

최근 합의 기구가 구성됐지만, 입장 차는 여전합니다.

[최승준 / 강원 정선군수 : 우리가 열정을 쏟았던 그 올림픽 흔적을 후대에 물려줄 수 있도록 해달라는데 왜 이것도 안 된다는 겁니까?]

[김재현 / 산림청장 : 저희는 행정을 집행하는 상황에서 복원 입장은 계속 유지되는 상황입니다.]

다른 경기장 역시 사용은 하지 못하는데 돈만 들어가고 있습니다.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이나 강릉 하키 센터, 슬라이딩 센터처럼 일반인이 이용하기 힘든 전문 시설은 임시 위탁 기관만 정하고 폐쇄됐습니다.

3개 시설 유지에 한 해 40억 원이 필요합니다.

시설이 없어진 탓에 스켈레톤과 봅슬레이 등 썰매 대표팀은 올림픽 끝난 뒤 훈련 한번 못했습니다.

관리 주체가 정해진 나머지 경기장도 제대로 된 활용방안 없이 방치되고 있습니다.

[최문순 / 강원도지사 : 일부는 국가대표 선수들이 훈련할 수 있게 하고 훈련비를 받을 예정입니다. 나머지는 상업적 이용도, 다른 나라처럼 상업적 이용을 해서 일반 관광객이 짧은 코스를 탄다든지….]

정부는 뒤늦게 기념재단을 만들어 시설 운영과 관리를 맡기기로 했습니다.

현재 재단 운영 방식과 재정 지원 규모 등을 뽑기 위해 외부 연구 용역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용역 결과는 오는 6월 나옵니다.

하지만 시설 사용료 같은 한시적 예산 지원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 속에 애물단지로 전락한 올림픽 경기장 활용은 좀처럼 쉽지 않아 보입니다.

취재기자 : 지환
촬영기자 : 우영택
자막뉴스 : 육지혜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