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제안에서 타결까지

광주형 일자리...제안에서 타결까지

2019.01.30. 오후 9:5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극적인 타결을 이뤄내는 데 5년 가까이 걸렸습니다.

협상에 나선 광주시 대표는 외줄을 타는 곡예사의 심정으로 옥동자를 낳기 위해 온 힘을 다했다고 말했는데요.

최초 제안에서 타결까지의 과정을 김범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시작은 지난 2014년 윤장현 전 광주광역시장이 '좋은 일자리 만 개 창출'을 공약하고 취임하면서부터입니다.

광주시에 사회통합추진단이 생기면서 노동계와의 접촉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성공 다짐대회도 잇달아 열렸습니다.

[윤장현 / 전 광주광역시장(2016년) : 노사의 안정되지 못한 상태, 한없이 올라간 일부 대기업의 임금 체제 가지고는 세계 시장 속에서 우리 제조업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는 게 명백합니다.]

하지만 일찌감치 노동계의 한 축인 민주노총이 불참을 선언하고 윤장현 시장의 임기가 끝나면서 광주형 일자리 사업 열기는 시들해졌습니다.

그런데 2년 전 출범한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되면서 다시 탄력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지난해 6월에는 현대자동차가 투자 의향서를 제출하면서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협상 과정에서 광주시가 노동계를 대하는 태도에 불만을 품고 한국노총마저 등을 돌렸지만, 가까스로 노동계의 입장을 반영한 협상안이 마련됐습니다.

이를 토대로 광주시와 노동계, 전문가가 참여한 투자유치추진단이 발족해 적정임금과 노사 책임경영 등 4가지 원칙에 합의했습니다.

지난해 말 타결 직전까지 갔던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새 자동차 회사가 35만 대 정도 생산해 경영 안정을 이룰 때까지 임금과 단체협상을 유예할 수 있도록 한다는 조항 하나 때문에 파국을 맞았습니다.

[이병훈 / 광주광역시 문화경제부시장 : 35만 대가 그런 해석의 차이가 있었던 것이죠. 그런 해석의 차이는 오랜 노사 갈등과 불신에서 오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후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성공은 시대적 소명이라며, 현대차, 노동계와의 견해 차이를 좁히기 위해 직접 전면에 나섰습니다.

그리고 4년 7개월의 산고 끝에 우리나라 최초의 사회 통합형 일자리 사업으로 평가받는 '광주형 일자리'가 빛을 보게 됐습니다.

YTN 김범환[kimbh@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