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타이완과의 무역 협상에서 최소한 한국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타이완 언론들은 미국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를 인용해 최근 5차 대미 협상을 마친 상황을 보도하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미국은 협상 과정에서 한국과 일본이 각각 약속한 3천5백억 달러와 5천5백억 달러를 기준으로 제시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타이완의 최종 투자 규모는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결정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런 소식이 전해지자 타이완 내에선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TSMC의 미국 이전 가능성을 포함해 첨단 산업 공동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리후지 행정원 대변인은 대미 무역 협상과 관련해 공급망 협력을 논의하고 있으며 관세율 인하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무역 합의가 완료되지 않은 타이완에 20%의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타이완 언론들은 미국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를 인용해 최근 5차 대미 협상을 마친 상황을 보도하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미국은 협상 과정에서 한국과 일본이 각각 약속한 3천5백억 달러와 5천5백억 달러를 기준으로 제시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타이완의 최종 투자 규모는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결정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런 소식이 전해지자 타이완 내에선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TSMC의 미국 이전 가능성을 포함해 첨단 산업 공동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리후지 행정원 대변인은 대미 무역 협상과 관련해 공급망 협력을 논의하고 있으며 관세율 인하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무역 합의가 완료되지 않은 타이완에 20%의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