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주민투표하면서 미사일 공격...국방차관 등 경질

러, 주민투표하면서 미사일 공격...국방차관 등 경질

2022.09.25. 오후 12:0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점령지 4곳에서 영토 편입 주민 투표를 실시하면서도 우크라이나 민간 시설에 미사일 공격을 가했습니다.

최근 전쟁에서 수세에 몰린 러시아는 병참 관리에 실패했다는 책임을 물어 국방차관과 3성 장군을 전격 경질했습니다.

취재 기자 연결해 우크라이나 상황 알아봅니다. 김선희 기자 !

러시아가 영토편입 주민 투표를 실시하는 가운데에서도 우크라이나 민간시설을 공격했군요?

[기자]
네,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4개 지역에서 영토 편입 주민투표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이 와중에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지역의 아파트 등지에 미사일 공격을 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지시간 24일 러시아군이 자포리자 주를 지나는 드네프르강 주변 기반시설에 미사일을 발사했고 이 가운데 하나가 아파트 건물에 떨어졌습니다.

이번 공격으로 1명이 사망하고 7명이 다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주민들이 무척 분노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댐을 겨냥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앵커]
러시아 점령 지역에서 영토 편입 주민 투표는 계속 진행되고 있나요?

[기자]
네, 동부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인민공화국 남부 자포리자 주와 헤르손 주 등 4개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데요.

주민투표는 사실상 러시아가 점령지를 신속하게 자국 영토로 합병하기 위한 절차입니다.

2014년 러시아가 점령한 크림반도의 경우, 주민투표가 무려 97%의 찬성률로 가결된 바 있는데요.

이번 투표는 비밀투표 등 기본 원칙을 어긴 채 이뤄지고 있다는 증언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투표는 닷새 동안 이루어져 오는 27일 끝나는데 이미 주민들 상당수가 러시아의 침공 후 피난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다수가 러시아계이거나 친러시아 계층일 수 있어 압도적인 가결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오는 30일 우크라이나 점령지에 대한 합병 승인을 발표할 수 있다고 러시아 관영 타스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앵커]
러시아의 군 동원령 반대 시위도 계속되고 있죠?

[기자]
네, 러시아의 예비군 동원령에 반대하는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하며 시위 참가자 7백여 명이 체포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21일에는 천3백 명 이상이 체포됐습니다.

AFP통신은 경찰에 체포된 한 여성 시위자가 우리는 총알받이가 아니라고 외치는 것을 목격했다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군 동원령으로 러시아 내 혼란과 갈등이 커지고 있는 양상인데요.

친푸틴 인사조차 동원령이 원칙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이례적으로 비판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군 경험이 없거나 징병 연령이 한참 지난 남성들까지 영장을 받았다는 보도가 나오며 동원령 반대 분위기가 더 험악해지고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반발이 거세지니까 러시아는 군 동원령을 위한 유인책과 처벌 규정을 함께 마련해 병력 소집에 나섰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자국 병력이 자발적으로 항복하거나 전투를 거부하면 최대 10년까지 구금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에 서명했습니다.

갑자기 많은 병력이 한꺼번에 군에 합류하는 상황을 고려해 사전에 기강을 잡을 수 있도록 군법을 엄격하게 만들겠다는 취지로 풀이됩니다.

징집을 꺼리는 걸 고려해 유인책도 제시했습니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군 동원령의 대상 예비군에 대해 채무상환을 유예해주도록 권고했습니다.

압류된 모기지 주택에서 퇴거당하지 않도록 혜택을 주기도 하고, 러시아군에 입대하는 외국인이 시민권을 받기 쉽도록 하는 법안도 내놨습니다.

하지만 여러 정책에도 동원령을 피해 해외로 나가려는 러시아인들의 차량 행렬이 계속되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앵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수세에 몰린 러시아가 군 핵심 지휘관을 경질하고 전격 교체했다고요?

[기자]
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국방차관과 3성 장군을 전격 경질했습니다.

러시아가 개전 초기에 점령했던 동북부 땅을 최근 다시 우크라이나군에 넘겨주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주요 원인을 병참 관리 실패에서 찾아 책임을 물은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30만 명 규모의 첫 예비군 동원령을 내린 상황에서 군 핵심 지휘관을 교체해 분위기를 다잡겠다는 뜻도 담겨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금까지 국제부에서 YTN 김선희입니다.



YTN 김선희 (sunn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