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 더콕] 역대 '광복절 경축사'에 담긴 일본

[더뉴스 더콕] 역대 '광복절 경축사'에 담긴 일본

2019.08.14. 오후 1:3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74주년 광복절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대통령은 매년 8월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주로 일본 또는 북한을 향한 메시지를 내놓습니다.

오늘 더콕에서는 역대 '광복절 경축사'에 담긴 일본을 들여다보겠습니다.

가장 분명한 대일 메시지, 구체적인 제안이 담긴 경축사는 2004년 59주년 광복절에 나왔습니다.

매년 이어진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후소샤 역사교과서 검정 신청으로 일본에 대한 비판 여론이 고조됐던 시점이었습니다.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경축사를 통해 친일 청산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진상규명 특별위원회 설치를 제안했고 이듬해 특위가 출범했습니다.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위원회, 반민특위가 가동되며 친일 청산 작업이 시도되던 1949년에는 어떤 경축사가 나왔는지 찾아봤습니다.

일본에 관한 내용이 없었습니다.

반민특위가 그해 1월에 공식 활동을 시작했지만 조직적인 방해, 습격 등으로 활동이 지지부진 했던만큼 노골적으로 반민특위를 약화시킨 이승만 정부에서 일본을 거론할 입장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반민특위는 두달 뒤 해체됐습니다.

국교정상화로 한일 관계를 근복적으로 변화시킨 1965년의 경축사도 살펴보겠습니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6월에 조인된 한일 기본조약에 대해 '국익을 위한 불가피한 결단'이었다고 정당화했습니다.

다음해인 1966년에도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는 '한일 국교 정상화 등으로 한국의 국제적 지위가 향상됐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일본의 고교 역사교과서 왜곡으로 반일감정이 고조됐던 1982년에는 완전한 광복을 성취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이 경축사에 담겼습니다.

하지만 '일제 침략을 막지 못한 것은 스스로 힘을 지지니 못했기 때문'이라는 다소 자조적인 문구가 담기기도 했습니다.

역시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가 불거졌던 2006년에는 일본에 반성과 사과를 촉구하고 실질적인 조치를 요구해 대비를 이뤘습니다.

광복절 경축사에는 특징이 하나 있습니다.

한일 간 외교적 협의가 활발히 진행되던 시점엔 경축사에 별다른 내용 담기지 않았습니다.

1993년 위안부 문제 인정과 사과가 담긴 고노 담화가 나온 시점, 그리고 1995년, 일본 식민지배에 대해 공식 사과한 무라야마 담화가 나왔을 땐 경축사에 일본 관련 언급이 없었습니다.

1990년대와는 또 다른 차원에서 관계가 활발했던 2016년에도 별다른 언급은 없었습니다.

2016년은 2015년 말 위안부 합의 이후 화해 치유재단이 설립되는 등 위안부 합의 이행단계로 접어들었던 시기였습니다.

그해 11월에는 한일 간 최초이자 유일한 군사협정인 군사정보보호협정이 체결됐습니다.

한일 관계가 국교 정상화 이후 최악인 상황에서 74주년 광복절을 맞이하게 됩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경축사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 관심입니다.

일본을 압박하는 대응 조치가 담길지 사태 해결을 강조하며 대화를 제안할지 주목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