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역' 찬사 이면의 그늘..."취약계층 진료는 어디로?"

'K-방역' 찬사 이면의 그늘..."취약계층 진료는 어디로?"

2020.11.29. 오전 06:3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대응, 이른바 K-방역이 세계적으로 찬사를 받고 있죠.

그런데 공공병원이 모두 감염병 대응에 초점을 맞추면서 오히려 취약계층의 의료 사각지대가 커졌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진료를 거부당하거나 방치되면서 생명까지 위협당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겁니다.

손효정 기자입니다.

[기자]
10년 넘게 서울의 한 공공병원에서 골수염과 뇌전증 치료를 받아온 윤 모 씨.

지난 8월, 골수염 때문에 절단한 다리에 염증이 생겨 다급하게 응급실을 찾았지만, 열이 난다는 이유로 진료를 거부당했습니다.

코로나19 검사가 음성으로 나올 때까지 심해지는 통증을 참으며 기다려야 했습니다.

[윤 모 씨 / 서울 동자동 : 염증이 생기니까 몸에 열이 나죠. 이틀 동안 불안에 떨면서 결국은 낫질 않아서 수술했어요. 병원에서 응급처치를 받지 못하게 되면 결국 나중에 감염되면 다리를 여기까지 또 잘라내야 해요.]

코로나19가 급속도로 번지던 지난 3월, 급성 폐렴에 걸린 17살 정유엽 군은 병원 치료 한 번 제대로 받지 못한 채 목숨을 잃었습니다.

[정성재 / 고 정유엽 군 아버지 : 병원 자체는 아예 못 들어온다는 거예요. 그럼 병원에서 해줄 수 있는 게 뭡니까 하니까 본인들이 해줄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고…. 급성 폐렴은 골든타임이 있지 않습니까, 그 24시간, 36시간 아까운 시간을 다 흘려보낸 거예요.]

코로나19 사태 이후, 정부는 공공병원을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하고 코로나19 대응에 총력을 기울였습니다.

방역에 성공적이었다는 평가의 이면엔 그늘도 드리웠습니다.

취약계층의 의료 공백이 커진 겁니다.

진료비가 저렴한 공공병원에서 치료받던 저소득층 만성질환자들은 오갈 데가 없어졌습니다.

다니던 병원은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돼 버렸고, 민간병원으로 옮기자니 진료비가 너무 비싸섭니다.

[윤 가브리엘 / HIV/AIDS 감염인 인권 활동가 : 저소득층에 나이드신 노인분들, 다 질환 갖고 있고 저 같은 감염병 환자 등등. 코로나에 취약한 사람들이 바로 국립의료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인데 여기서 또 의료공백 때문에….]

정부가 일반 환자와 호흡기 환자를 분리해 진료하는 국민안심병원을 지정해두긴 했지만, 열이 나면 받지 않는 경우가 많아 사각지대 환자들은 여전히 남습니다.

[최규진 /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인권위원장 :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는 열이 나는 환자를 안 받는 병원, 즉 병원장만 안심할 수 있는 안심병원으로 변질이 됐습니다.]

시민단체는 이런 환자들을 구제하려면 공공병원에 쏠려 있는 감염병 관리 책임을 민간 병원으로도 분산해 일반 환자의 병상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또, 발열 증상이 있더라도 응급 상황에선 즉시 치료가 이뤄질 수 있게 대응 체계를 바꿔야 한다고도 지적했습니다.

[코로나19 의료공백실태조사단 관계자 : 분절적으로 이뤄지는 코로나19 전담병원, 안심병원, 선별진료소를 총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를 설치하는 근거 규정을 만드는 것도 고민해볼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OECD 국가 가운데 최하위 수준인 공공의료기관 병상 비중도 더 늘리는 게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YTN 손효정[sonhj0715@ytn.co.kr]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