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유행 우려 속 치료 병상 문제 없을까?

재유행 우려 속 치료 병상 문제 없을까?

2020.06.15. 오후 9:4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수도권 국가지정 격리병상 거의 ’포화’…73개 중 69개 사용
병상 구분 필요…고위험군 치료 돕고 의료진 부담 줄여야
AD
[앵커]
수도권 중심 집단 발생이 확산하면서 격리 치료 중인 환자가 천 명을 넘었습니다.

이런 증가세에 재유행 전망까지 잇따르면서 병상 부족 상황이 벌어지지 않을까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정회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 코로나19 치료 기관은 감염병 전담병원, 생활치료센터, 국가지정 격리병원 등 세 종류입니다.

이 중 정부가 확보한 수도권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은 1,769개.

사용 중인 건 778개로 991개는 비어 있습니다.

생활치료센터도 여유가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 같은 확산세가 계속된다면 얘기는 달라집니다.

이태원 클럽 발 첫 환자가 나온 뒤 40여 일 만에 수도권 내 격리 치료 환자가 세 배 가까이나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벌써 수도권 내 국가지정 격리병상은 거의 다 찼습니다.

고령층, 기저질환 환자가 늘면서 증세가 악화돼 전문 치료 시설을 갖춘 국가지정 병상으로 이송이 많아진 탓입니다.

정부는 병상 확보에 힘쓰겠다고 밝혔습니다.

[박능후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 : 재유행을 대비하여 방역물자, 치료 병상, 의료인력 등 치료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계획입니다.]

100명의 환자가 나올 경우 타 지역과 병상 활용을 한다는 계획도 세웠습니다.

그러나 최악의 상황이 고려되지 않은 계획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엄중식 /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 (대구 경북에서) 700∼800명 단위까지 나온 적 있잖아요. 그런 상황이 되면 수도권은 더 많아질 수 있는데 천 명 2천 명 단위가 될 수도 있는데 그런 상황에 대한 대비는 안 돼 있지 않나. 사실은 그런 때가 문제가 되는 거죠.]

경증, 중증 구분 없이 무조건 병상 배정을 하는 것부터 바뀌어야 고위험군 환자 치료를 돕고 의료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최근 수도권 중심 집단 발생 속에 고령 환자가 급증하면서 위중, 중증환자가 느는 데 따른 경고입니다.

이와 함께 정부와 지자체 간 병상 활용 계획에 대해 일선 의료기관이나 전문가들은 공유가 안 돼 있어서 실제 대규모 상황이 벌어졌을 경우 혼선도 우려됩니다.

YTN 김정회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