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강제동원, 통계도 지원도 없다

어린이 강제동원, 통계도 지원도 없다

2019.08.14. 오후 1: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일제의 불법적이고 반인도적인 식민지 지배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 어린이 강제동원이지만, 정작 우리 정부는 제대로 된 조사를 한 적이 한 번도 없습니다.

불행했던 과거를 제대로 기억하고 있는지, 일본이 아니라 우리 자신에게 먼저 물어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어서 홍성욱 기자입니다.

[기자]

[선오순 / 12살에 강제동원 : 아이고 어린 나이에 잠 못 자고 얼마나 힘이 들었겠어요. 야간 할 때가 제일 죽을 것 같았어요. 잠 오다 들키면 혼나고.]

감옥 같던 방직공장에서 밤낮없이 일했던 선오순 할머니.

당시 나이는 12살, 호적상으로는 7살이었습니다.

정부는 이렇게 주민등록 나이와 실제 나이가 다른 경우가 많아서, 아동 강제동원의 규모를 파악할 수 없다며 지금껏 아무런 조사도 하지 않았습니다.

[행정안전부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 관계자 : 어린 나이에도 강제 징용했다는 게 의미가 있다고 보이긴 하는데, 그걸 뭐 여기서 따로 우리가 (조사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역사학자들은 할머니·할아버지들에게 일일이 직접 물어서 피해 규모와 실상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일제 강제동원 연구회 정혜경 박사가 여성 강제동원 피해자 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당시 어린이였던 피해자는 최소 4백 명이 넘습니다.

정부는 이 같은 연구자들의 자발적인 조사도 돕지 않습니다.

관련 기록이 행정안전부 과거사 관련 업무 지원단과 국가 기록원에 있지만, 개인정보라는 이유로 학술 목적의 공개마저 거부했습니다.

[정혜경 / 일제 강제동원&평화연구회 박사 : 자료 찾기도 어렵고 생존자도 거의 만날 수 없고, 이런 상황이 돼서 지금이라도 진상규명 작업을 다시 시작해야 출발할 수 있다고 봅니다.]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는 아동 강제동원 피해자도 적지 않습니다.

일제 강점기 어린이 강제 동원은 대부분 국내 군수 시설에서 이뤄졌는데, 2005년 강제동원 피해 지원 특별법을 만들 때, 지원 대상을 국외 동원자로 제한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예산이 부족하다며 지원 대상 범위를 크게 좁혔을 뿐만 아니라 피해 신청마저 한시적으로 받았습니다.

중국은 난징 대학살 피해 신고를 무기한으로 받고, 이스라엘은 지금까지 홀로코스트 피해자를 찾고 있습니다.

[이국언 / 근로정신대시민모임대표 : 우리도 할 일을 제대로 안 하면서 어떻게 일본의 올바른 역사의식을 촉구할 수 있느냐, 우리도 뼈아프게 되돌아볼 점이 있습니다.]

YTN 홍성욱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