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9주 만에 첫 하락
서울 강북권 3.2p 하락 vs 강남권 1.3p 하락
"강북권 대출 의존도가 강남보다 더 높기 때문"
서울 강북권 3.2p 하락 vs 강남권 1.3p 하락
"강북권 대출 의존도가 강남보다 더 높기 때문"
AD
[앵커]
서울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묶은 '10·15대책' 시행 후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서울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9주 만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강남권보다는 강북권 매수심리가 더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류환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을 보면 지난주인 10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한 주 전 105.4에서 103.2로 2.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지난 8월 18일의 99.1 이후 9주 만의 첫 하락이었습니다.
특히 강북권 매매수급지수가 104.8에서 101.6으로 3.2포인트나 하락했는데 강남권은 106.0에서 104.7로 1.3포인트만 낮아졌습니다.
강북권은 대출의존도가 높은 실수요 비중이 강남보다 크기 때문에 규제 영향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함영진 /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 : 강남보다 상대적으로 강북권역이 대출에 민감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집을 갈아 타거나 또는 구매하려고 할 때 대출이라든지 상대적으로 전세를 끼고 주택을 구입하는 게 어렵다 보니 수급 동향도 하락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반면 '10·15대책'에 따른 '풍선효과'로 수도권 경매시장에선 과열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법원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경매에 부쳐진 서울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이 102.3%를 기록했습니다.
즉 감정가보다 낙찰가가 2.3% 높았습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이 100%를 넘은 것은 지난 2022년 6월의 110% 이후 3년 4개월 만입니다.
이는 경매로 낙찰받은 주택은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도 2년 실거주 의무가 없고 주택담보대출만 받지 않으면 낙찰 후 곧바로 전세를 놓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10·15대책' 대상이 된 경기 12개 지역의 지난달 평균 낙찰가율도 97.9%로 지난 9월의 94.4%보다 높아졌습니다.
경기도 전체 평균 낙찰가율이 87.3%인 것과 비교하면 10%포인트 이상 높았습니다.
당분간 인기 지역 저평가 단지를 중심으로 경매 수요가 몰리겠지만 앞으로 아파트 매매 가격이 하락하면 점차 경매 시장 과열 징후도 진정세를 보일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YTN 류환홍입니다.
YTN 류환홍 (rhyuh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묶은 '10·15대책' 시행 후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서울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9주 만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강남권보다는 강북권 매수심리가 더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류환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을 보면 지난주인 10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한 주 전 105.4에서 103.2로 2.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지난 8월 18일의 99.1 이후 9주 만의 첫 하락이었습니다.
특히 강북권 매매수급지수가 104.8에서 101.6으로 3.2포인트나 하락했는데 강남권은 106.0에서 104.7로 1.3포인트만 낮아졌습니다.
강북권은 대출의존도가 높은 실수요 비중이 강남보다 크기 때문에 규제 영향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함영진 /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 : 강남보다 상대적으로 강북권역이 대출에 민감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집을 갈아 타거나 또는 구매하려고 할 때 대출이라든지 상대적으로 전세를 끼고 주택을 구입하는 게 어렵다 보니 수급 동향도 하락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반면 '10·15대책'에 따른 '풍선효과'로 수도권 경매시장에선 과열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법원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경매에 부쳐진 서울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이 102.3%를 기록했습니다.
즉 감정가보다 낙찰가가 2.3% 높았습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이 100%를 넘은 것은 지난 2022년 6월의 110% 이후 3년 4개월 만입니다.
이는 경매로 낙찰받은 주택은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도 2년 실거주 의무가 없고 주택담보대출만 받지 않으면 낙찰 후 곧바로 전세를 놓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10·15대책' 대상이 된 경기 12개 지역의 지난달 평균 낙찰가율도 97.9%로 지난 9월의 94.4%보다 높아졌습니다.
경기도 전체 평균 낙찰가율이 87.3%인 것과 비교하면 10%포인트 이상 높았습니다.
당분간 인기 지역 저평가 단지를 중심으로 경매 수요가 몰리겠지만 앞으로 아파트 매매 가격이 하락하면 점차 경매 시장 과열 징후도 진정세를 보일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YTN 류환홍입니다.
YTN 류환홍 (rhyuh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