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N팩트] 9월에도 신용대출 3조↑...대출금리 줄줄이 인상

[취재N팩트] 9월에도 신용대출 3조↑...대출금리 줄줄이 인상

2020.09.28. 오후 1:0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금융당국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신용대출 급증세가 멈추지 않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런 가운데 시중은행들이 고신용자 대상 금리 인상과 한도 축소에 나서면서 은행권의 신용대출 조이기도 본격화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최두희 기자!

이번 달 은행권 신용대출이 3조 원 넘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그래픽을 보면서 설명을 좀 드리자면요, 금융당국의 구두경고 후에 잠시 주춤했던 신용대출은 지난주부터 다시 하루 기준으로 최소 2천억 원씩 증가했습니다.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 24일 기준으로 지난 8월 말과 비교해 무려 2조 6천116억 원이나 늘어난 건데요.

추세대로라면 이번 달 신용대출 증가액은 3조 원을 가뿐히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월 단위 역대 최대 증가폭이었던 지난달의 4조755억 원보다는 적지만 역대 2위 수준으로 여전히 높은 상황인데요.

일단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로 인한 풍선 효과에 빚내서 투자하는 이른바 '빚투' 열풍이 큰 것으로 보이고요.

여기에 추석 연휴를 앞두고 자금 수요도 적지 않은 데다 다음 달 5일과 6일로 예정된 방탄소년단 소속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 공모주 청약도 대출 증가세에 한몫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앵커]
신용대출 급증세가 이어지며 지난 14일 금융당국이 구두경고에 나선 이후, 실제로 시중은행들도 고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금리를 올리거나 대출 한도를 줄이는 모습이군요?

[기자]
금융당국 경고 후 신용대출 금리를 이미 조정한 은행들이 적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금리를 조정한 곳을 살펴보면, 케이뱅크, 우리은행, 카카오뱅크, 국민은행 등인데요.

국민은행은 내일(29일)부터 신용대출 금리를 높이고 대출 한도를 줄이기로 했고 우리은행도 추석 연휴 이후인 다음 달 6일부터 우대금리를 축소합니다.

금융당국이 급증세를 보이는 신용대출이 부동산 시장이나 주식 시장에 흘러들어간다고 지적하면서 생계형으로 대출을 받는 저소득층 대상 대출에는 지장이 없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은행이 의사나 변호사 같은 전문직 대상 신용대출 한도부터 축소할 거란 예상이 나왔는데 실제로 뚜껑을 열어 보니, 일반 직장인들까지도 금리 인상의 여파가 미치게 됐습니다.

[앵커]
아직 금리 인상을 결정하지 않은 다른 은행들도 신용대출 금리를 높일 가능성이 크겠군요?

[기자]
아직 신용대출 금리 인상 여부 등을 결정하지 않은 다른 시중은행들도 금리 인상과 한도 축소와 같은 구체적 방안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시행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는데요.

이와 함께 '빚투' 현상이 과열 양상을 보이다 보니, 증권사가 투자자에게 제공하는 대출 서비스인 '신용공여' 한도를 자체적으로 조정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24일 기준 신용융자 잔고만 무려 17조 원이 넘으면서 일부 대형 증권사들이 한도에 이른 신용공여를 중단하기도 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앞서 금융당국도 무리한 대출을 통한 주식 투자의 위험성을 경고하면서 증권사의 신용융자에 제동을 건 상황입니다.

[앵커]
일단 추석 연휴 이후에는 신용대출 증가세가 좀 꺾일 것으로는 보이죠?

[기자]
일단 추석 연휴 이후에 은행권의 신용대출 조이기가 더 가속화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인데요.

여기에 오는 5일과 6일 이뤄지는 빅히트엔터테인먼트 공모주 청약이 끝나고 청약 증거금들이 상환될 경우, 신용대출 증가세가 잠시 주춤할 순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은행권의 신용대출 조이기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자금 수요가 여전하다 보니, 신용대출 증가세를 억제하는 게 쉽지만은 않아 보이는데요.

이용하는 고객군이 다르긴 하지만 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기 어려워진 경우에 보험사 같은 제2금융권으로 옮겨가는 이른바 '풍선효과'가 발생할 우려도 나오는 게 사실입니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대출 조절에도 불구하고 신용대출 급증세가 이어진다면 추가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관측되는데요.

모든 종류의 대출을 합산해서 연 소득 대비 상환능력을 측정하는 더 강력한 대출 규제 수단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이른바 DSR 규제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최두희[dh0226@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