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N팩트] '살충제 달걀' 45곳...오늘 검사 마무리

[취재N팩트] '살충제 달걀' 45곳...오늘 검사 마무리

2017.08.18. 오전 11:4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이른바 '살충제 달걀'을 생산한 것으로 확인된 산란계 농가가 전국에서 모두 45곳으로 늘었습니다.

정부는 오늘 안에 전수 검사를 마무리할 방침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차유정 기자!

살충제 달걀 농가가 어제보다 13곳 늘었군요?

[기자]
정부가 어젯밤 10시 기준으로 전체 산란계 검사 대상 농가 1,239곳 가운데 1,155곳, 검사를 93%를 마쳤는데요.

어제보다 13곳이 추가돼 45곳으로 늘었습니다.

문제가 된 살충제 성분별로 보면 피펜트린은 7곳으로 새로 추가되지 않았지만, 비펜트린이 34곳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그 밖에 플루페녹수론 등 기타가 3곳으로, 이번에 피리다벤이라는 새로운 살충제 종류도 검출됐습니다.

피리다벤은 시중 유통이 허용되지 않고, 닭에는 아예 사용이 금지된 원예용 살충제 성분입니다.

45곳 가운데 친환경 무항생제 인증을 받은 농가는 28곳, 비율은 62%입니다.

[앵커]
살충제 달걀 농가 중 친환경 농가 비율이 62%로 여전히 높은데요. 유독 그런 이유가 있습니까?

[기자]
45곳 가운데 28곳이 친환경 농가라니, 뒤통수 맞은 느낌이라는 소비자분들이 많은데요.

그런데 현장 취재를 해보니, 친환경 농가이기 때문에 오히려 살충제 사용 유인이 크다는 증언이 나왔습니다.

친환경 농장은 피프로닐은 물론 다른 어떤 살충제도 써서는 안 됩니다.

그런데 친환경 기준을 지키느라 항생제를 쓰지 않으면 닭의 면역력이 약해져서 진드기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이번 여름 무더위가 심해 유독 해충이 기승을 부렸죠.

이런 이유로 일부 친환경 인증 농가에서 살충제 사용의 유혹을 떨쳐버리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연일 살충제 달걀 농가가 늘어나면서 불안도 커지고 있는데요, 언제쯤 이런 사태가 잠잠해질까요?

[기자]
정부가 15일부터 전수 조사를 시작했는데, 나흘 만인 오늘, 마무리한다는 방침입니다.

어젯밤 기준 93% 마무리한 것으로 전해졌으니 오늘 무리 없이 전수 조사는 끝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오후 4시에 장관 주재로 브리핑이 예정돼 있어 전체 양계 농가에 대한 최종 검사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사태 수습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농식품부는 우선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가의 달걀은 회수·폐기 조치했다고 밝혔습니다.

시중에 유통된 살충제 달걀 48만 개를 압류하는 작업도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48만 개는 어제까지 나온 살충제 달걀 농장 32곳에서 생산한 물량이기 때문에, 오늘 부적합 농장이 45곳으로 늘었으니 압류 달걀 규모도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검사 결과 적합 판정을 받은 1,110개 농가의 달걀은 유통을 허용했습니다.

오늘 조사가 마무리되면 일단은 사태가 좀 잠잠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전수 조사가 상당히 빠르게 진행됐는데요, 그 과정에서 문제도 있었다고요?

[기자]
정부는 살충제 달걀 사태를 빨리 수습하겠다며 전국 모든 산란계 농가 전수조사를 단 사흘 만에 끝내겠다고 발표했습니다.

1,200여 곳을 단 사흘 만에 끝내겠다는 거였데요.

초고속 검사 과정에서 부실 조사 논란이 일었습니다.

표본 조사라는 게 검사관이 예고 없이 양계장에 들러 무작위로 시료를 채취하는 게 상식이고 규정에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나와 있는데요.

그런데 일부 지역 조사관들이 농장주들에게 검사 전 방문 사실을 미리 알렸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달걀을 미리 준비해놓고 있으라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농장주 입장에서 살충제 농가 판정을 받으면 달걀을 모두 폐기해야 하니, 문제가 될 달걀들은 치워놓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정부 발표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대목입니다.

정부는 즉각 문제가 된 121곳에 대해 철저히 재검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 밖에도 정부는 발표 과정에서 정상 농가를 부적합 농가로 혼동해 발표하거나 검출 농장 수를 잘못 발표하는 등 연일 허둥지둥하는 모습을 보여 오히려 혼란을 가중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