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공동 조사' 제안에 오늘도 침묵...'코로나 방역'만 강조

北 '공동 조사' 제안에 오늘도 침묵...'코로나 방역'만 강조

2020.09.29. 오전 11:5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北, 靑 ’공동조사’ 제안에 사흘째 묵묵부답
北 어제 자체 수색 정황…오늘도 수색 나설 듯
北, 대내 매체에는 일절 함구…’코로나19’ 방역만 강조
北 "비상방역사업, 공세적으로 벌여나가는 게 중요"
AD
[앵커]
청와대가 북한군의 총에 맞아 숨진 우리 국민 사건과 관련해 북측에 공동 조사를 제안했지만 북한은 어제 이어 오늘도 묵묵부답입니다.

어제는 북한군이 자체적으로 수색 활동을 벌이는 정황이 우리 군 당국에 포착된 가운데, 오늘도 수색에 나설지 주목됩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황혜경 기자!

우리 정부의 공동조사 제안에 북한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요?

[기자]
아직 북한이 공동조사와 관련해 의사를 밝힌 것은 없습니다.

또 청와대가 진상 조사를 위한 군사통신선 복구와 재가동을 요청한 데 대해서도 여전히 묵묵부답입니다.

청와대가 제안한 것이 지난 일요일 오후인데 어제 이어 오늘도 침묵을 이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북한은 이번 '공무원 피살' 사건과 관련해 이틀 전 북한 주민들은 볼 수 없는 관영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우리 측이 수색 과정에서 자신들의 영해를 침범하고 있다며 중단을 요구한 것 외에 일절 함구하고 있는데요.

이후 우리 군 당국은 북한 측이 자체적으로 우리 국민 수색에 나선 정황이 포착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오늘도 수색에 나서 어떤 결과물을 내놓을지 관심입니다.

[앵커]
북한은 대신 여전히 코로나 방역만 강조하고 있다고요?

[기자]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북한은 대내 매체에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서는 전혀 보도하지 않고 있는데요.

북한 주민에게는 알리지 않겠다는 의도로 분석됩니다.

대신 어제도 오늘도 노동신문 등에는 '코로나19' 방역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기사를 많이 게재했습니다.

매체들은 비상방역사업을 공세적으로 벌여나가는 게 중요하다면서, 자그마한 공간과 허점도 말끔히 찾아내 빈틈없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음 달 10일 당 창건 75주년 기념일을 앞두고 코로나 문제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수해 피해 복구와 대내 결속에만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만 북한의 우리 공무원 피살 사건 이후 유엔 사무총장이 투명한 진상조사를 촉구한 데 이어, 유럽연합에서도 '국경을 넘었다고 해서 생명권을 침해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국제적으로도 관심 사안으로 부상하고 있어 북한이 우리 정부의 진상 규명과 공동조사 요구에 계속 침묵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앵커]
우리 군 당국의 늑장 대처가 계속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이에 대한 입장 나온 게 있습니까?

[기자]
조금 전 국방부 정례브리핑이 있었습니다만, 당시 군 당국은 조각 난 첩보들을 갖고 있는 상황이라 정확하게 판단하기가 무척 어려웠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당시 여러 첩보들이 있었고 이를 갖고 상황을 판단해서 정보화하는 데 시간이 소요됐다는 겁니다.

다만 북측 통지문의 내용과 군 발표 내용에 일부 차이가 있는 데 대해서는 현재 전반적으로 관련된 자료들을 다시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국방부 핵심 관계자는 어제 북한이 공무원 A 씨를 구조하려던 정황이 포착됐고, 나중에 상황이 급반전돼 대응에 제한이 있었다고 밝혔는데요.

이러한 해명이 설득력을 얻으려면 좀 더 객관적 증거가 제시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통일부가 공무원 피격 사건 다음날인 지난 23일 의료용 마스크와 체온계 등 대북 의료물자 지원을 승인한 사실이 공개돼 논란인데요.

이와 관련해 통일부 당국자는 당시 사실관계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승인 요건을 갖춘 민간단체의 반출 신청을 중단하기 어려웠다고 해명했습니다.

또 반출 승인이 나더라도 실제 물자가 북한에 전달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실관계가 확정된 이후 반출 시점 등 진행 과정을 조정하려 했다고 밝혔는데요.

이후 지난 24일 우리 군 당국이 조사 결과를 확정해 발표하자마자 9월 중 대북 반출 승인을 받은 6개 단체에 대해 즉각 반출 중단을 통보했고, 해당 단체도 협력 의사를 밝힌 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이 당국자는 과거 천안함 폭침 시에도 관련 사실을 조사하는 2달가량 기간 동안 대북 반출과 방북 승인이 이루어지는 등 비슷한 전례가 있는 사안이라고 강조했는데요.

하지만 과연 이 같은 조치가 적절했는지는 여전히 논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YTN 황혜경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