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득권 주장에 모욕감"...거물 불출마에 정치권 술렁

"기득권 주장에 모욕감"...거물 불출마에 정치권 술렁

2019.11.18. 오후 1:2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임종석 불출마 선언 ’86그룹’ 용퇴론 불 당기나?
이인영 "개인 거취 문제보다 정치 구조 혁신"
김세연 "한국당 민폐 여론…지도부 불출마해야"
나경원 "김세연 지도부 사퇴 요구는 충정"
AD
[앵커]
휴일 잇따라 나온 거물 정치인들의 불출마 선언에 여의도가 술렁이고 있습니다.

애써 표정관리를 하고 있지만 인적 쇄신 요구를 공천에 반영해야 하는 곳도, 어쩌면 용퇴 요구가 향하는 곳도, 각 당 지도부이기 때문입니다.

여느 때보다 뒤숭숭하게 한 주를 시작한 국회로 가보겠습니다. 나연수 기자!

어제 두 정치인의 불출마 선언, 깜짝 발표였고, 정치권에서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는 반응이었습니다.

오늘 정치권 표정 어땠나요?

[기자]
기존 비례대표 출신, 또는 초선의원들의 불출마 선언과는 분위기가 또 다른 것 같습니다.

정치권 후배들의 '용퇴' 요구에 대한 선배들의 '응답'으로도 읽히기 때문인데요.

특히 민주당에서는 그동안 인적 쇄신 대상으로 3선 이상 중진급 의원들과 함께 운동권·80년대 학번·60년대생을 가리키는 '86그룹' 의원들이 거론돼 왔는데요.

어제 불출마 선언은 물론, 제도권 정치와 거리를 두겠다고 선언한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대표적인 86그룹입니다.

당장 여당 내 '86그룹 용퇴론'이 정치면 헤드라인에 등장하자, 이 그룹에 속하는 우상호 의원이 아침 라디오 인터뷰에서 씁쓸한 심경을 토로했습니다. 잠시 들어보시죠.

[우상호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우리가 무슨 자리를 놓고 정치 기득권화가 되어 있다고 말하는 것에 대해서 약간 모욕감 같은 걸 느끼고 있었거든요. 그렇지 않은데.]

우상호 의원은 20대 국회 첫 원내대표를 지냈죠, 나름의 역할을 한 것이 기득권으로 거론되는 데 대한 서운함을 드러낸 건데요.

역시 대표적인 86그룹으로 분류되는 이인영 원내대표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개인의 거취 문제보다는 우리 정치 문화 구조를 어떻게 혁신할 것인지에 대한 지혜들이 이야기되면 좋겠다면서, 거취에 대한 입장표명을 보류했습니다.

초선의원들의 공개 발언도 아직 조심스럽습니다.

박주민 의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현직인 한국당 김세연 의원의 불출마를 언급하며, 국회가 지금 국민의 신뢰를 받지 못하고 국민뿐 아니라 의원들도 회의에 빠져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앵커]
임종석 전 비서실장은 개인의 거취와 계획만 밝혔기 때문에 민주당 입장에서는 곧장 '86그룹' 거취를 묻는 게 부담스러울 수도 있겠군요.

그런데 자유한국당 김세연 의원의 경우에는 직접 지도부를 겨냥하지 않았습니까?

[기자]
네, 김세연 의원은 자유한국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의 원장을 맡고 있기도 하죠.

그런 김 의원이 한국당은 민폐다, 좀비다, 이런 극단적인 표현까지 쓰며 당 해체, 지도부 사퇴를 주장하면서 지도부도 말을 아끼긴 어렵게 됐습니다.

황교안 대표는 오늘 오전 회의에서 만일 총선에서 국민에게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다면 책임지고 물러나겠다고 말했습니다.

당 쇄신이 국민 요구이자 시대적 소명이라며 폭넓게 의견을 수렴해 확실하게 쇄신하겠다고, 다소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는데요.

나경원 원내대표 역시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 의원이 지도부 사퇴를 이야기한 것은 충정이라 생각한다며, 패스트트랙에 올라간 법안을 막는 게 자신의 소명이고, 이후에는 어떤 것에도 연연하지 않겠다고 답했습니다.

김 의원이 재창당까지 포문을 넓혀놓은 만큼 당 안에서는 제법 쓴소리가 쏟아져 나옵니다.

정미경 최고위원은 한국당이 통합도 쇄신도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김 의원이 절박함을 느꼈을 것이라고 지적했고, 청년 최고위원인 신보라 의원은 정치권 세대교체 요구가 국민 여론의 80%를 넘었다며, 한자리에 앉은 중진 의원들까지 함께 겨냥했습니다.

어제 두 정치인들의 잇단 불출마 선언을 지켜본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는 거대 양당 구조에 균열이 생긴 것이라며 바른미래당과 제3지대의 골든타임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보수통합과 제3지대 빅텐트 역시 순조롭지 않은 상황에서, 정치권의 쇄신 요구를 낙관할 때도 아닙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나연수 [ysna@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