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조 원 vs 1조 원+α"...한미, 방위비 간극 좁힐 수 있을까

"6조 원 vs 1조 원+α"...한미, 방위비 간극 좁힐 수 있을까

2019.10.21. 오전 11:1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방위비 분담금, ’방위비 특별협정’에 따라 지급
특별협정 10차례 갱신…분담금 점진적으로 인상
올해 최초로 방위비 분담금 1조 원 넘어
AD
[앵커]
한미가 이번 주 미국 하와이에서 제11차 방위비 분담 특별협정을 위한 2차 협상을 이어갑니다.

하지만 미국이 직전 협정에서 합의한 분담금의 대여섯 배에 달하는 50억 달러, 우리 돈으로 6조 원가량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우리 측과의 간극이 매우 큰 상황인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이 부분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임성호 기자!

방위비 분담금을 둘러싼 한미 간 입장 차를 알아보기 전에요. 방위비 분담금이 뭔지부터 간단히 짚어주시죠.

[기자]
한국에 미군이 주둔한 이래로 우리 정부는 주한미군 경비를 여러 이유로 직접 또는 간접 지원해오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방위비 분담금은 한미주둔군지위협정, 이른바 SOFA 5조에 대한 특별조치협정을 맺어서 주한미군에 지급하는 돈입니다.

관련 규정을 잠깐 살펴보겠습니다.

SOFA 5조에 보면, 한국이 주한미군 시설·부지를 무상 제공하고, 미국은 그 외의 미군 운영 유지비 등을 부담해왔습니다.

SOFA에 따르면 원래는 주한미군 내 한국인 노동자 인건비나 군사시설 건설 비용 등은 미국이 부담해야 하는 건데요.

방위비분담 특별협정은 여기에 특별 조치를 추가한 겁니다.

쉽게 말해서 SOFA 규정에 따라 제공하던 시설·부지 무상 제공에 더해서, 미국이 부담하게 되어 있는 주한미군 운영 유지비 일부도 지원할 수 있게 한 것입니다.

[앵커]
그럼 그동안 우리나라가 부담해온 방위비 분담금 규모는 어떻게 되나요?

[기자]
방위비 분담 특별협정은 지난 1991년에 처음으로 체결됐습니다.

한미 양국은 이후 올해까지 모두 10차례에 걸쳐 특별협정을 갱신하며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을 점진적으로 늘렸습니다.

최근 추이를 보면 지난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다섯 해에 걸쳐선 대체로 9천억 원대의 분담금 규모를 유지했습니다.

그러다가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뒤 방위비 분담금 인상 압박도 거세지며, 올해 적용하는 10차 특별협정에선 처음으로 1조 원이 넘었습니다.

[앵커]
분담금 액수가 적지 않은 것 같은데, 그런데 미국은 이번에 분담금을 얼마나 요구하는 겁니까?

[기자]
얼마를 요구했는지 정확히 알려지진 않았지만, 50억 달러, 우리 돈으로 6조 원가량을 방위비 분담금으로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실이라면 올해 한국이 부담하는 분담금에서 대여섯 배나 인상하라고 요구하는 건데요.

미국의 이 같은 요구는 최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확인됐습니다.

지난주 금요일에 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국방부에서 국정감사를 진행했는데요.

이 자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철희 의원은 미국이 방위비 분담금으로 50억 달러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는 사실상 주한미군 주둔 비용 전체를 다 달라고 하는 것과 같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앵커]
사실이라면 무려 5조 원을 인상해달라는 건데, 구체적으로 어느 항목의 비용을 그렇게 요구하는 건가요?

[기자]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은 SOFA 규정에 따라 주한미군에 무상 제공하는 시설·부지 외에, 방위비 특별협정에 따른 주한미군 운영 경비 일부를 지원하는 겁니다.

여기에는 주한미군이 고용하는 한국인 노동자들의 임금이나 군사시설 건설 등의 항목이 포함돼 있는데요.

그런데 이번에는 미국이, 그간 특별협정에 없었던 항목을 신설해서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준비태세' 항목입니다.

미국은 그간 북한의 도발 등으로 한반도에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때 항공모함이나 핵잠수함, 전략폭격기 등 '전략 자산'들을 전개했습니다.

또 유사시를 대비한 연합 훈련과 연습훈련도 우리 군과 함께 진행해왔는데, 이 비용을 방위비 분담금에 추가하라고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밖에도 미국은 '주한미군 군무원과 가족 지원'을 위한 비용 등도 방위비 분담금 항목에 포함하라고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우리 정부도 참 난감할 것 같은데, 협상에 임하는 전략은 뭔가요?

[기자]
우리 정부는 미국의 요구 사항들이 SOFA 규정과 맞지 않는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설명할 방침입니다.

주한미군 내 한국인 노동자 인건비와 군사시설 건설비, 군수지원비 등의 항목에는 포함되지 않는 내용이라는 걸 강조하는 건데요.

방위비 분담금 이외에도 간접 지원 액수도 적지 않다는 점도 미국 측에 강력하게 전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방위비 분담금 말고도 관세와 내국세 면제와 카투사 병력 지원비용, 상하수도·전기료 감면과 기지 이전 비용 등을 포함하면 한국이 부담하는 주한미군 주둔 지원비용이 5조 원이 넘는다는 점을 강조할 방침입니다.

이번 주 하와이에서 열릴 11차 방위비 분담 특별협정 2차 협상을 앞두고 미 국무부는 보도자료까지 배포하며 우리 측에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압박하고 나섰는데요.

한미가 2차 협상에서 방위비 분담을 둘러싼 큰 간극을 좁힐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통일외교안보부에서 YTN 임성호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