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보는 2018 세계 한인 차세대 대회

다시 보는 2018 세계 한인 차세대 대회

2018.10.02. 오후 6:4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지난 9월 17일부터 21일까지 서울과 경기 일대에서 차세대 한인 리더들이 모국연수를 진행했습니다.

지구촌 주역이 될 글로벌 한인 인재들을 미리 만나보시죠!

[인터뷰: 이 지 예 / 프랑스 '몽한복' 대표]
"저는 프랑스에서 한복을 모티브로 한 기성복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 이지예입니다."

[일상복에 스며든 우리 옷, 몽한복]

[인터뷰: 이 지 예 / 프랑스 '몽한복' 대표]
"일단은 한복이 브랜드 이름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개량 한복이라고 오해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저는 기성복에 한복의 디테일을 넣어서 우리의 것을 서양에 홍보하고자 하는 그런 취지에서 넣었습니다. 예를 들면, 개량 한복은 치마 같은 것을 길이를 줄인다든지 간단하게 생활한복으로 입을 수 있게 하는 것이잖아요. 그런데 저 같은 경우는 티셔츠의 깃에 한복 디테일을 넣는다든지, 그냥 일반 치마, 랩스커트에 한복 원단이나 한복의 색상을 사용한다든지 그런 식으로 기성복에 한복의 디테일을 넣은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생활 속 한복, 프랑스인의 반응은?]

[인터뷰: 이 지 예 / 프랑스 '몽한복' 대표]
"일상복화 돼서 평소에도 부담스럽지 않게 입을 수 있다고 많이 평가하시고요. 편안하게 입을 수 있지만, 고급스럽고 또 아름다운. 그렇지만 일상. 평소에 찾아보기 힘든 어딘가 다른 그게 바로 한국의 미가 살짝 들어있어서 그렇게 느끼는 게 아닐까."

[서양 옷도 하는데, 우리 옷이라고 못 할까요]

[인터뷰: 이 지 예 / 프랑스 '몽한복' 대표]
"17살 정도에 다큐멘터리를 봤는데 그게 OEM에 관한 것이었어요. 서양에서 데필레가 끝나면 데필레는 패션쇼. 패션쇼가 끝나면 한국에 들어오잖아요. 그게 동대문시장에서 일주일 안에 카피가 돼서 팔린다고 하네요. 그런데 그것이 백화점 브랜드든 로드숍이든 상관없이 모두 똑같은 디자인이 한국에서 유통되는 거죠. 그런데 저 같은 경우엔 그게 너무 마음이 아팠어요. 우리나라 전통 복식이 있는데 그것을 계승해서 현대화시켜서 일상복으로 입게 하지 않고 서양 복식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는 그런 것이 마음이 아파서 그때 마음을 먹었죠. 서양에 가서 우리 복식을 전파하는 그런 디자이너가 되자고. 그래서 프랑스에서 학업을 마치고 사업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파리 속 한국'이 자리 잡는 그날까지]

[인터뷰: 이 지 예 / 프랑스 '몽한복' 대표]
"목표는 파리지앵들이 일상 속에서 한국적인 것들을 접할 수 있는 거예요. 파리 속의 한국이라는 주제로 진행을 했었고요. 예를 들면 티셔츠인데 나는 파리지엔느라고 한글로 씌어있는데 그 안에 보시면 단청의 모티브가 있는 거죠. 그런 식으로 파리 속의 한국이라는 주제는 모든 컬렉션에 반영이 돼있어요. 한국문화 전도사라고 할 수 있겠네요. 전 세계로 나가서 한국을 알릴 수 있는 디자이너가 되고 싶습니다."

[나의 원동력, 나의 뿌리 한국]

[인터뷰: 이 지 예 / 프랑스 '몽한복' 대표]
"한국의 소식이라든지 한국과 많은 교류를 하고 싶고. 또 한국의 재외동포재단이라든지 다른 기관들이 해외에 많은 한국적인 행사들을 열어주셨으면 좋겠어요. 저희가 정체성을 찾고 한국인으로서 자긍심을 가지고 살아가는 데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아요. 아무리 해외에 살고 거기에 잘 정착한다 할지라도 자신의 뿌리를 잊으면 그것은 너무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해요, 저는. 그런 것을 잊지 않고 살아갈 때, 해외에서 한국에 관련된 활동을 할 때 많은 동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제 힘을 잃지 않고 살아가는."

[인터뷰: 변 얼 / 아르헨티나 현대화부 공공혁신 최고책임자]
"아르헨티나 정부에서 일하고 있고 대학교에서 강사 일을 맡은 아르헨티나에서 온 27살 변얼입니다."

[아르헨티나 정부의 혁신을 책임집니다]

[인터뷰: 변 얼 / 아르헨티나 현대화부 공공혁신 최고책임자]
"(아르헨티나 정부에서 일을 시작한 건) 5월 2017년. 1년 반이 됐네요. 2017년. 정부에서는 현대화부에 있는데요. 내가 일하고 있는 분야가 퍼블릭 이노베이션이라고. 정부 안에서 어떻게 우리가 다른 마인드셋, 그리고 다른 메소돌로지(방법론)를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나. 그런 일인데. 내가 맡은 일은 팀 코디네이터예요."

[공공혁신, 어떤 일을 하는 건가요?]

[인터뷰: 변 얼 / 아르헨티나 현대화부 공공혁신 최고책임자]
"(맡은 프로젝트명은) 아르헨티나 퍼블릭. 아르헨티나 정부에서 일하는 사람들한테 이노베이션, AI, 빅데이터, 메소돌로지(방법론) 이런 걸 다 트레이닝 시켜주는 프로젝트거든요. 그 프로젝트 때문에 '아폴리티칼'이라는 뉴스는 아니고 플랫폼 같은 건데, 거기서 인터뷰를 받았어요. 인터뷰를 해서 그 글이 되게 좋은 피드백을 받았어요. 그 인터뷰 다음에 룩셈부르크, 벨기에, 포르투갈 되게 많은 나라들에서 우리한테 이메일이 오더라고요. 너희가 하고 있는 일이 되게 좋다고. 가르쳐달라고, 토론하자고. 그게 현재까지 제일 좋았던 하이스포트."

[아르헨티나 국민 모두가 나의 고객]

[인터뷰: 변 얼 / 아르헨티나 현대화부 공공혁신 최고책임자]
"우리가 일하는 게 임팩트가 되게 큰 것 같아요. 내가 길을 걸으면서 항상 생각하는 게, 사람들을 보면서 저 사람은 내 클라이언트, 저 사람도 내 클라이언트다, 저 사람도 내 클라이언트다, 내가 하는 일은 이 모든 사람한테 임팩트(영향력)가 있으니까 그만큼 내가 책임감을 가지고 열심히 일을 해야 한다. 계속 아르헨티나 정부에서 일하고 싶어요. 아르헨티나 정부에서 되게 괜찮은 자리를 찾은 것 같아요."

[아르헨티나 + 한국 = 플러스 알파]

[인터뷰: 변 얼 / 아르헨티나 현대화부 공공혁신 최고책임자]
"(한국인으로 일하면서 어려운) 그런 건 없었던 것 같아요. 그런 문화. 그런 면에서는 아르헨티나 사회가 되게 웰커밍 했었던 것 같아요. 우리한테 항상. 내가 한국 얼굴이 있다고 힘들거나 그런 건 없었던 것 같아요, 다행히. 내가 아르헨티나 정부에서 일하면서 넌 한국 사람이라서 어쩌고 하는 인종차별 같은 건 받은 적도 없고 오히려 내가 한국 사람이라서 더 쉽게 뛰어날 수 있는 것 같아요. 특이하니까. 한국 문화에 내가 한국 집에서 컸거든요. 엄마 아빠가 한국말도, 한국 문화 그런 걸 되게 가르쳐줬어요. 그걸 이제 아르헨티나 사회에 갖다 바치니까 합이 되게 좋은 거예요. 예를 들어가지고 한국 사람이 예의가 되게 바르잖아요. 어른들한테 예의도 바르고. 그런 면으로선 한국 문화가 되게 좋았던 것 같아요."

[한인 후손 위한 한민족 정체성]

[인터뷰: 변 얼 / 아르헨티나 현대화부 공공혁신 최고책임자]
"이젠 나처럼 2세대 한국사람, 3세대 한국사람, 다른 나라 가면 5세대, 6세대까지 가는데 그런 사람들을 불러가지고 한국문화를 가르쳐주고, 한국어를 가르쳐주고. 그런 일을 하는 중요성이 되게 많은 것 같아요. 예를 들어서 이스라엘 같은 경우 되게 잘하잖아요, 그런 걸. 한국도 그런 점에서 강력한 인터내셔널 커뮤니티 만드는 게 매우 중요한 것 같아요. 한국 정부는 한인들의 강력한 커뮤니티를 만드는 데에 끊임없이 투자해야 해요. 어떤 세대든지 간에요."

["한국인이라는 핑계로 모이기 좋잖아요"]

[인터뷰: 변 얼 / 아르헨티나 현대화부 공공혁신 최고책임자]
"마더 테레사가 한 이야기 중에 '너는 내가 못하는 걸 할 수 있고, 나는 네가 못하는 걸 할 수 있다. 그럼 함께는 훨씬 더 좋은 것을 할 수 있다'는 멘트가 있는데요. 나는 그 멘트를 생각하며 여기 왔습니다. 네트워킹이 되게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한국사람이란 핑계로 아주 다양한 나라의 한국사람을 만날 수 있다는 기회가 되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FLC(차세대대회) 끝나고 다시 돌아가면 다른 나라에서 일하고 있는, 다른 나라 정부에서 일하고 있는 한국사람들을 계속 만나고 이야기하고 아이디어를 교환하면서 더 좋은 아이디어들이 나올 수 있도록 계속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인터뷰: 유 수 진 / 미국 워싱턴대학교 조교수]
"한국 이름은 유수진입니다. 워싱턴에 살고 있고요. 워싱턴 대학교에서 조교수 일을 하고 있습니다. 아동 복지를 전공했습니다."

[나의 열정은 '아동 복지']

[인터뷰: 유 수 진 / 미국 워싱턴대학교 조교수]
"저는 소셜워크를 사랑해요. 입양됐기 때문에 소셜워크에 더 집중하기로 했죠. 지금은 제가 졸업한 학교 프로그램을 그대로 가르치고 있어요. 저희는 아이들을 안전하게 돌볼 능력이 없는 가족들과 함께 일하고 있어요. 무슨 이유든지 그걸 없애야 하니까요. 그래서 그 부모님들이 아이들을 다시 돌볼 수 있도록 하고 있어요. 그래서 저는 대학원을 졸업하면 학생들이 이들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일을 하고 있죠."

[지금의 나를 만든 '입양인으로 살아온 삶']

[인터뷰: 유 수 진 / 미국 워싱턴대학교 조교수]
"입양된 후의 삶에 대해 물어봐줘서 기뻐요. 사실 아주 좋은 가족을 만나서 입양됐다는 것에 대해서 많이 생각해보지 않았어요. 한국인이라는 사실에 대해서도요. 그런데 소셜워크를 하면서 한국에 관심을 가지게 됐죠. 그래서 한국에 10년 전에 돌아왔어요. 9년 전? 입양됐다는 사실이 다른 사람들과 다른 사람들이 고통받는다는 것에 대해서 더욱 민감하게 만드는 것 같아요. 그래서 저도 항상 다른 사람들을 더 보살펴왔죠. 그게 제가 이 일을 하는 이유기도 하고요."

[미국 내 아시아계 입양인의 멘토로]

[인터뷰: 유 수 진 / 미국 워싱턴대학교 조교수]
"미국에서도 일하고 있어요. AAAW 보드멤버죠. 성인 입양인 그룹이에요. 저희는 그들에게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고요. 여기서 입양 과정에 대해서도 볼 수 있어요. 또 아시안 입양인을 위한 멘토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어요. 6년째 해오고 있는데요. 매달 어린 입양인들과 만나서 재미있는 것들을 하는데요. 목적은 그들의 정체성 이해와 미국에서 아시안으로 사는 것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이해, 인종차별과 입양에 대한 질문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거예요. 왜냐하면 부모님은 아시안도 아니고 입양되지도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다 이해하긴 힘들거든요. 그래서 관록이 생긴 입양인 커뮤니티가 더 젊은 세대의 입양인들을 도울 수 있다는 게 좋은 것 같아요."

[나의 삶이 담긴, 한국의 '고아원']

[인터뷰: 유 수 진 / 미국 워싱턴대학교 조교수]
"한국 고아원에서 봉사도 했어요. 1년 반 정도를요. 그래서 고아원이 거의 제겐 한국 가족이에요. 지난주에도 갔는데, 원장님은 거의 제 이모예요. 제가 정말 사랑하죠. 김천에선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했어요. 영어 선생님들이 고아원에 가서 영어교육 자원봉사를 하죠. 그리고 매년 외국인을 위한 크리스마스 파티도 하고요. 토이 드라이브랑 홀리데이 파티도 해요. 고아원을 통해서 많은 걸 받아서 행복해요. 돌고 도는 인생이라고 할까요. 고아원과 봉사, 외국인들을 고아원 아이들과 연결시켜주는 일, 그들이 영어를 할 수 있게 될 때 느껴지는 기쁨, 다른 사람들을 만나는 것 같은 데서 인생은 돌고 돈다는 걸 느껴요."

[한인 입양인, 한국과 미국을 잇는 다리로]

[인터뷰: 유 수 진 / 미국 워싱턴대학교 조교수]
"이곳에 오게 돼서 굉장히 영광입니다. 전 세계 한인 입양인과 한국 사이를 잇는 다리가 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입양인에 대한 내일 발표를 통해서, 한국이 우리 입양인들이 여기 있고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걸 알게 될 거예요. 우리가 한국의 일부가 되고 싶고, 모든 걸 좀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가고 싶어 한다는 것도요."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