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D-1] 가수 알리에게 듣는 평양 공연 뒷이야기

[정상회담 D-1] 가수 알리에게 듣는 평양 공연 뒷이야기

2018.04.26. 오후 3:1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알리 / 가수

[앵커]
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오늘 아주 귀한 손님 한 분 모셨습니다. 이달 초였죠. 평양에서 있었던 남북 합동공연입니다. 우리는 하나, 이 공연에 참여를 했던 분입니다. 가수 알리 씨인데요. 오늘 초대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초대를 저희가 사실은 한참 전에 했어요.

[인터뷰]
알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특별히 오늘 저희가 방송을 결정한 이유는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2차 합동공연 참여하셨죠? 거기에 영상이 뒤늦게 어제, 오늘 공개가 되면서 저희가 그 영상을 보면서 당시를 회상하면 어떨까 해서 오늘 모셨습니다.

[인터뷰]
감사합니다. 제가 사실 출연을 많이 고사했어요. 선배님들이 이렇게 말씀을 하시는 자리여야지, 저는 후배로서 그냥 따라 가는 데 의의가 있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그런데 아무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앵커]
그럴 수도 있지만 저는, 제가 아직 2차 공연은 다 못 봤고 1차 공연은 처음부터 끝까지 다 봤는데요. 알리 씨 공연 굉장히 인상 깊게 봤었어요.

[인터뷰]
감사합니다.

[앵커]
다 보셨습니까, 혹시? 1, 2차 공연. 현장에서 물론 느꼈겠지만 남측으로 돌아와서, 한국으로 돌아와서 텔레비전에서 방송하는 거 보셨나요?

[인터뷰]
1차는 제가 공연 중이어서 잘 못 봤고요. 2차를, 그러니까 어제 저녁 11시에 봤습니다.

[앵커]
어떠셨습니까?

[인터뷰]
제가 앞에서 노래를 불렀기 때문에 노래 부르는 건 괜찮았는데 멘트를 할 때 굉장히 떨리더라고요, 저는. 그리고 맨 마지막에 함께 합동 무대를 온전하게 할 때, 다 같이 노래를 부를 때 울컥했어요. 그 전주 부분에 제가 울컥하는 파트에 제가 또 그 자리에서 울컥하는 화면이 영상에 담겨져서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역시 노래가 주는 힘이 있구나라는 걸 느꼈어요.

[앵커]
지금 보고 계시는 영상이 저게 2차 공연입니까, 1차 공연입니까?

[인터뷰]
저 부분은 1차 공연이에요. 동평양공연장에서 했던 1차 공연이고요.

[앵커]
아직까지도 무대의 여운이 많이 남아 있을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인터뷰]
아직도 얼떨떨하고 제가 다녀온 것이 맞는가라는 생각이 좀 들기는 해요. 왜냐하면 제가 올라갈 때는 참 많이 추웠거든요. 그런데 내려왔더니 벚꽃이 피어 있더라고요. 제가 그때 기자회견 때 따뜻한 봄을 전해드리고 오겠습니다라고 말씀을 드렸었는데.

[앵커]
지키셨네요.

[인터뷰]
그런 기분이 들어서 좀 놀랐어요.

[앵커]
이번 공연에 처음에 어떻게 참여를 하셨는지 설명을 해 주실 수 있어요?

[인터뷰]
청와대에서 연락이 왔어요.

[앵커]
가고 싶다고 다 갈 수 있는 게 아니잖아요.

[인터뷰]
탁현민 행정관께서 전화를 주셨는데. 처음에 모르는 번호가 세 통이 와서. 원래 모르는 번호는 잘 안 받아서. 그런데 문자가 한 통이 와 있는 거예요. 청와대의 누구입니다, 전화를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 말도 반신반의하면서 한 번 더 전화통화가 왔을 때 제가 받고 말씀을 듣고 차후에 생각을 하고 난 뒤에 연락을 드리겠다라고 말씀을 드렸거든요. 전화통화를 했을 때도 그런데 어떻게 제 번호를 아셨냐, 알 수가 없을 텐데.

[앵커]
평소에 모르시는 분이었어요, 그분?

[인터뷰]
예, 저는 안면이 없었습니다. 기사가 나가기 전까지도 저는 긴가민가했어요. 왜냐하면 어떻게 이렇게 큰 무대와 역사적인 일에 내가 동참을 할 수 있을까 반신반의하면서 있었는데 기사 때문에 이게 진짜구나. 가는구나라는 걸 알게 됐죠.

[앵커]
공연 준비는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해요. 저희들이 많은... 이게 북한과 관련된 거라 많이 공개가 안 된 부분들이 많아서. 함께하셨는지 아니면 따로 각자 준비를 하셨는지. 공연 준비, 가기 전에. 여기서 가기 전에.

[인터뷰]
대한민국 안에서는 윤상 음악감독님 필두로 모든 세팅이 끝마쳐졌고요. 그리고 마지막에 저희 모든 가수들이 모여서 조용필 선배님 합주 연습실에서 연습을 하고 떠났습니다.

[앵커]
급박하게 결정이 돼서 준비 시간이 부족하지 않았냐 이런 얘기도 있었는데 어땠어요? 실제로 참여하셨을 때?

[인터뷰]
사실 급박하기는 했죠. 왜냐하면 관련되신 분들이 공연장을 답사하는 일정도 있었고 저희에게 확답이 오는 것도 시일이 걸렸었고 그래서 촉박하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너무 윤상 음악감독님과 그 외 다른 스태프들께서 너무 잘 마련해 주셔서 공연을 잘 끝낼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앵커]
저는 개인적으로 북한 땅을 가본 적은 있어요. 금강산. 그런데 평양은 한 번도 못 가봤어요. 평양 얘기를 듣고 싶은데 평양은 어때요?

[인터뷰]
건축양식이 굉장히 멋지더라고요. 유럽이 연상되는 그런 건축양식이었어요. 꽤 큰 건물들이 상당히 많았고요. 첫날은 차량들이 없어서 굉장히 큰 도로임에도 불구하고 차량들이 없어서 너무 휑하다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틀째 되니까 많은 분들이 길거리에서 다니시더라고요.

떠오르는 장면 중에 하나는 아기와 엄마가 이렇게 걸어가다가 아기가 토라지더라고요. 그거를 몇 번을 엄마가 받아주시더니 엉덩이를 한번 탁 치시고는 데려가시더라고요. 그런 자연스러운 모습들을 많이 볼 수 있었어요.

[앵커]
금방 자연스럽다고 했는데 제가 생각했던 평양 모습하고 다르거든요. 어땠습니까? 본인도 약간 그렇게 느끼지 않으셨나요?

[인터뷰]
사실 좀 딱딱하고 그리고 정직하게 정형화된 그런 모습들 저도 예상하면서 갔는데요. 의외로 자연스러운 모습들을 저는 버스 안에서 봤어요. 밖에 나갈 수는 없었고요. 버스 안에서 항상 지켜보기만 했는데 그 지켜보는 과정 가운데에서도 그냥 대한민국에 있는 사람들과 별반 다르지 않음을 저는 느꼈습니다.

[앵커]
별반 다르지 않다, 저희가 미리 드린 질문에는 없었는데요. 갑자기 궁금한 게 하나 있는데 저는 금강산 넘어갈 때 군사분계선을 넘어간다는 생각에서, 북한 땅을 밟는다는 생각에서 그런지는 모르지만 이른바 머리가 쭈뼛 선다는 느낌을 실제 경험을 했거든요. 북한으로 막 넘어갔을 때, 도착했을 때 어떤 그런 느낌 없었습니까?

[인터뷰]
저도 금강산을 예전에 다녀왔어요. 대학교 때 가요제에서 상을 받아서 저희 동기들끼리 금강산 여행차 다녀와서 그 말씀이 어떤 의미인지 알겠거든요. 입경, 출경을 해야 되는 그 상황이 육로를 통하는 거니까. 그런데 저희는 비행기를 통했고요.

비행기가 D자 모양으로 해로를 통해서 간 거라서 그러한 긴장감은 없었죠. 단지 평양 공항에 도착했을 때 그런 쭈뼛함이 있지 않을까 했는데 의외로 거기 공항 관계자분들께서 굉장히 환하게 웃으시면서 잘 오셨습니다, 공연 준비 많이 하셨습니까? 어떤 분들께는 긴장되십니까? 이런 식으로 말씀을 아주 편하게 물어와 주시더라고요.

[앵커]
그러니까 한 번 다녀와서 그럴 수도 있고 지금의 남북 평화 분위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고 그런 느낌을 받으셨던 것 같아요.

[인터뷰]
많은 분들께서 굉장히 유하다는 느낌을 저는 받았어요. 뭔가 경직되어 있는 부분들은, 긴장하거나 경직되어 있는 부분들을 느낄 수는 없었던 것 같아요.

[앵커]
다른 분들의 생각을 제가 직접 들어야 되는데 못 들으니까 전해드려볼게요. 다른 분들도 그렇게 비슷한 생각을 하셨을까요, 어땠을까요? 같이 공연에 참여하셨던 우리 남측 예술인들.

[인터뷰]
지금까지 얘기한 건 저만의 생각이라 저희 같이 간 가수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모르겠는데 저희 팀들에 한 분씩 안내원들께서 계셨거든요.

[앵커]
팀별로 한 명씩이요, 아니면 1:1로?

[인터뷰]
팀별로 한 명씩. 그런데 그분들하고도 굉장히 즐겁게 가족 이야기나 날씨 이야기나 하면서 숙소나 공연장을 갔기 때문에 다들 아마 좋은 추억을 갖고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지금 평양 공연을 같이 하셨던 분들 정말 대선배분들도 많잖아요. 조용필, 이선희.

[인터뷰]
제가 레드벨벳 다음으로. 아니구나, 서현 씨까지. 거의 제가 저도 막내뻘인 거죠.

[앵커]
그러니까 이른바 대선배들하고 같이 공연을 하는 것 자체도 좀 의미가 있는 것 아닙니까? 물론 평양이라는 장소도 있지만.

[인터뷰]
장소도 물론 그렇지만 그래서 연습할 때부터 저는 많이 긴장을 한 상태였어요. 노래할 때는 항상 하는 거니까 상관이 없었는데 1차 공연이나 2차 공연 때도 어떻게 하다 보니 저한테 멘트를 할 시간이 주어졌더라고요. 그때도 대한민국 안에서 제가 공연을 하는 것처럼 자연스럽지는 않았고 굉장히 긴장된 상태에서 또박또박 얘기를 했거든요.

그건 평양이라는 장소 때문에도 있지만 정말 대선배님들과 처음 무대에 함께했다는 의미가 또 있기 때문에 더 긴장하지 않았나 싶어요.

[앵커]
평양에서 또 궁금한 게 공연이라든가 이런 때에 혹시 핸드폰 갖고 가셨죠?

[인터뷰]
아니요.

[앵커]
못 갖고 갑니까?

[인터뷰]
네.

[앵커]
그러면 사진 같은 건 어떻게.

[인터뷰]
태블릿PC을 한 대씩은 가지고 갈 수 있었어요.

[앵커]
한 팀에. 그러면 그걸로 찍은 겁니까?

[인터뷰]
그리고 사양이 허락되어 있는 카메라, 이렇게 가지고 갈 수 있었습니다.

[앵커]
카메라하고 태블릿PC. 어찌됐든 그걸로라도 사진 많이 찍어오셨어요?

[인터뷰]
그렇죠.

[앵커]
저희가 사실은 그 사진이 보고 싶었는데 오늘.

[인터뷰]
왜냐하면 이게 공개가 돼도 될지 아닐지 잘 몰라서. 그냥 개인적인 SNS에는 몇 장 올리기는 했어요.

[앵커]
주로 어떤 사진을 많이 찍으셨어요?

[인터뷰]
남한과 북한의 동료들이랑도 찍은 사진도 있고요. 음식 사진이 좀 많았던 것 같아요.

[앵커]
먹방 좋아하시니까. 공연 얘기로 다시 돌아가는 제가 두 번째 공연은 아직 못 봤는데 두 번째 공연에서 펑펑이라는 노래를.

[인터뷰]
1차 때도 불렀고요.

[앵커]
죄송합니다.

[인터뷰]
괜찮습니다.

[앵커]
그 곡을 선곡하신 이유가 있습니까? 혹시 그 노래를 북한에서 안다고 해서 그런가요, 아니면 본인 생각이었나요, 아니면 주최하는 사람들의...

[인터뷰]
이게 제 예상이었고요. 왜냐하면 제가 2014년도에 펑펑을 앨범을 냈는데 그때 제가 중국 인터넷에서도 제 펑펑 음원이 나왔다고 하더라고요.

[앵커]
사진 얘기 좀 잠깐 해 주시죠. 저게 어떤 사진인지 좀...

[인터뷰]
옥류관에 가서 저희 스태프분들이랑 찍은 사진이에요.

[앵커]
저 안경 쓰신 분은 백지영 씨 같은데요.

[인터뷰]
맞습니다. 이건 출경하기 전에. 남한 쪽에서 북한으로. 이분은 김성심 가수님이시고요.

[앵커]
혹시 저 사진을 저희 준비하시는 스태프분들한테 전달해서 나오는 거예요, 아니면 저희 스태프가 알아서 준비한 건가요?

[인터뷰]
알아서 준비하신 것 같습니다. 그런데 더 잘 찍어주셨는데요.

[앵커]
전화통화하셨다는 분이 나오네요, 탁현민. 다시 노래로 돌아가면요. 노래 아까 선곡하신 이유 죄송하지만 다 말씀하셨습니까, 못 하셨습니까?

[인터뷰]
이어서 말씀드리자면 중국에서 오픈된 제 노래를 북한분들께서도 알 수 있지 않으실까 싶어서 한번 불러드려봤어요.

[앵커]
어찌됐든 그래도 가수를 모셨는데 저희가 노래를 안 듣고 갈 수는 없잖아요. 펑펑을 저희가 잠깐 들어보고 얘기 계속 나눠보겠습니다. 저 얼굴 표정, 감정이 굉장히 기쁜 표정인 거죠? 노래 자체가 그래서 그런 거죠?

[인터뷰]
예, 그렇죠. 이별 노래니까요. 제가 부른 노래들은 거의 대부분 이별 노래예요.

[앵커]
그런데 그렇게 슬프지는 않았어요, 저는. 저는 기쁘게 들었습니다, 1차 때 저 노래를. 기쁜 장소에서 불러서 그런 게 아닌가 싶은데요. 그리고 북측 예술인하고 같이 노래를 한 걸로 제가 알고 있는데 얼굴이라는 노래.

[인터뷰]
김옥주 가수와 송영 가수. 저희는 저와 정인 씨가 함께 노래를 했죠.

[앵커]
이 노래가 꽤 옛날 노래인데 이 노래 선곡도 역시 우리 주최측에서 한 겁니까, 아니면 본인들의 의견이 들어갔습니까?

[인터뷰]
저도 그건 잘 모르겠어요. 저희는 이 곡이 선곡이 되었다라고 이야기를 들었고요. 그래서 연습을 했어요.

[앵커]
어찌 됐든 같이 부른 게 매일매일 호흡을 맞춰오신 분도 아니고 갑자기 연습하셔서 하셨을 거 아니에요. 어떠셨어요?

[인터뷰]
일단 1차 때는 정인 씨와 함께 듀엣하는 건 어렵지 않았어요. 워낙 호흡이 어떤지 서로 좀 알기 때문에. 그런데 북측 가수분들과 함께할 때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생각을 했는데 의외로 역시 음악을 하는 사람들은 통하는 게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 이미 화음도 생각해서 오신 부분들이 있고 물론 현장에서 리허설 당일날까지 맞춰본 게 있어서 좀 갑작스럽기는 했지만 갑작스러운 것에 비해서는 굉장히 잘 만들어진 그런 아카펠라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게다가 또 김옥주 가수와 송영 가수가 목소리 톤이 저희보다는 좀 더 도톰해요. 저도 허스키하다고 하면 허스키한 쪽에 속한다고도 하고 정인 씨도 마찬가지인데 의외로 또 다른 색깔들이더라고요, 네 명 다. 그래서 그 장점들을 살려서 잘 부를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앵커]
이제 저희가 얘기할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요. 평양 공연도 좋고 평양 방문도 좋고요. 이번에 평양에 갔다 와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 하나만 꼽으시라면?

[인터뷰]
너무 많은데 하나...

[앵커]
두 개 하셔도 돼요.

[인터뷰]
그러면 제일 저는 기억에 남는 것은 사실 저희 대한민국 가수들이랑 숙소에서 논 게 제일 많이 기억이 나고요. 그리고 두 번째는 2차 공연 때 북한분들께서 마지막에 꽃다발을 저희한테 전해 주셨거든요. 그때 굉장히 울컥했어요. 음악 전주 때문에도 한번 울컥했지만 그분들의 그 꽃다발을 전해주시는 그 손길, 그리고 눈빛 안에서 우리가 하나다, 참 많이 보고 싶었다, 이런 기분을 느꼈던 것 같아요.

[앵커]
평양 공연이 참 인상 깊었던 것 같은데 기회가 되면 또 가고 싶죠?

[인터뷰]
그럼요. 특히 또 평양 냉면도 또 먹어보고 싶고요. 그리고 만찬장에서 먹었던 제가 또 좋아했던 뱃속김치라고 있어요. 백김치 같은 건데 배 속에 있다고 해서 뱃속김치라고 하더라고요. 그것도 다시 한 번 맛보고 싶네요.

[앵커]
공연도 하시고 맛있는 것도 드시는 알리 씨의 바람이 이루어지는 날이 다시 또 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요. 알리 씨와 같은 예술인들의 노력으로 내일 열리는 남북 정상회담이 보다 더 좋은 결실을 맺으면 좋겠습니다.

그런 마음으로 오늘 저희가 인터뷰를 했습니다. 오늘 인터뷰에 응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