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추'가 가을이 아니라 송곳?

'입추'가 가을이 아니라 송곳?

2015.08.10. 오전 00: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오후 2시가 되자 경신학교 졸업생이 단상에 올라가 독립선언서를 낭독했다. 낭독이 끝날 무렵 군중 속에서 '만세' 소리가 터져 나왔다. 당시 탑골공원에는 서울시민과 고종 황제의 국장을 보러 올라온 국민들로 입추의 여지가 없었다.
- 서울 600년사 中

여기서 '입추'란 송곳을 세운다는 뜻.

당시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모인 사람들이 뾰족한 송곳 하나를 세울 틈도 없을 정도로 많았다는 뜻에서 이 표현을 사용한 건데요.

그런데 이 표현에는 전혀 다른 의미의 유래가 있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2천 여 년 전.

중국은 한나라 7대 왕인 한무제가 다스리고 있었습니다.

한무제는 자신에게 아부하는 간신배를 비호하고 백성의 안위는 무시하던 폭군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당시 중국 유교의 국교화를 이끈 인재 '동중서'는 한무제의 폭정에 실망한 나머지 관직을 내려놓고 귀향길에 오르고 맙니다.

그리고 탄식의 시를 지어 읊었다고 하는데요.

[동중서]
"소수의 간신배들이 나라의 땅을 독식하니 가난한 백성들은 이제 송곳을 꽂을 만한 땅조차 없구나"

한나라 이전인 진나라시대부터 이어진 과도한 토지 사유화 정책과 한무제가 비호하던 간신배들의 비리가 계속되자 백성들이 먹고 살기 위해 경작할 수 있는 토지는 점점 줄어들었습니다.

결국 가난한 백성들에게는 뾰족한 송곳 하나 세울 만큼의 좁은 땅도 남지 않을 정도로 힘겨운 세상이 되고 말았습니다

'입추의 여지가 없다'라는 표현은 어질지 못한 황제의 폭정으로 빈부의 격차가 심화되었던 암흑의 시대를 빗댄 말이었습니다.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표현들.

그 속에 담긴 본래의 의미를 통해 역사 속 교훈을 되새겨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