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래포구, 밀려간 바닷물에 쏟아진 새해 관광객들

소래포구, 밀려간 바닷물에 쏟아진 새해 관광객들

2017.01.05. 오후 2:2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소래포구, 밀려간 바닷물에 쏟아진 새해 관광객들
AD
새해에 시장을 찾는 것은 상투적이다. 그 바쁨의 일상, 아니 거의 전쟁과도 같은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이들에게서 뭔가 희망을 찾는다는 건 선거철에 정치인들이나 하는 말이다.

그럼에도 신년벽두에 소래포구를 찾았다.

사방을 돌아보면 여기가 포구가 맞나 싶을 정도로 도시화된 곳. 실제로 포구라고 이름 붙여진 곳에서 바닷물이 보이지 않는다.

소래포구, 밀려간 바닷물에 쏟아진 새해 관광객들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곳의 고층 아파트가 어리둥절함을 극대화시킨다.

하지만 막상 시장 안으로 발을 디디면 이런 생각들은 깡그리 사라진다.

소래포구, 밀려간 바닷물에 쏟아진 새해 관광객들

여기가 해맞이 명소인가라는 착각이 들 정도로 인산인해다. 수도권 웬만한 곳에선 한 시간 안에 다다를 수 있는 접근성이 정초부터 사람들로 북적거리는 배경이 아닌가 싶다.

소래포구, 밀려간 바닷물에 쏟아진 새해 관광객들

바닷물은 썰물을 따라 모두 사라졌는데, 밀물처럼 사람들이 밀려들었다. 이 많은 사람들이 무언가를 사기 위해, 무언가를 먹기 위해 몰려들었다고 생각하니 아득하다.

소래포구, 밀려간 바닷물에 쏟아진 새해 관광객들

소래포구의 터줏대감은 역시 젓갈과 꽃게다.

젓갈은 묘하다.

한때 제주에 머무를 때 자주 가던 식당은 갈치젓과 멸치젓이 나왔다.

상추와 배추에 쌈을 싸 먹다보면 정작 주문한 음식이 나오기도 전에 밥 한 공기를 비울 때가 많았다.

하지만 막상 젓갈을 집에 들고 와서 먹으면 그 맛이 나지 않는다.

따로 양념을 한 것도 아닌데 이 차이는 무엇 때문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소래포구, 밀려간 바닷물에 쏟아진 새해 관광객들

대목을 맞아 온갖 횟감도 동시다발로 출격했다. 서해 아니랄까봐 조개도 총출동이다.

여유만 있다면 무조건 현지에서 먹고 볼 일이다. 집에 가져오면 분위기라는 조미료가 쏙 빠진 단순 식재료가 될 뿐이다.

소래포구, 밀려간 바닷물에 쏟아진 새해 관광객들

시장인데 길거리 음식을 빼놓을 수 없다. 호떡하나에 배가 불러오지만 눈길을 사로잡는 것이 그뿐만이 아니다.

소래포구, 밀려간 바닷물에 쏟아진 새해 관광객들

썰물에 배들은 묶여서 간신히 중심을 잡고 서 있다. 배는 물위에 있을 때가 배의 본질이다.

새물이 가득 들어와서 바다로 나가길 바라는 건 비단 저 묶인 배들만은 아닐 것이다.

소래포구, 밀려간 바닷물에 쏟아진 새해 관광객들

한적한 어촌이었던 소래포구는 다른 숱한 어항이 그랬던 것처럼, 일제가 천일염을 수탈하기 위해 염전을 만들고 소금을 실어 나르면서 확장되었다.

소래포구, 밀려간 바닷물에 쏟아진 새해 관광객들

소금이 모여드는 곳이었으니 젓갈이 유명하지 않을 리 없고, 수원까지 소금을 실어 나르던 철길도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양혁진 anywhere@travellife.co.kr

스토리텔링 중심의 여행 전문 미디어
트레블라이프 www.travellife.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