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집사육이 구제역·AI 초래..."축산정책 재검토해야"

밀집사육이 구제역·AI 초래..."축산정책 재검토해야"

2017.02.20. 오전 01:1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올겨울 역대 최악의 AI에 이어 구제역까지 발병해 가축 전염병 비상이 걸렸는데요.

거의 매년 발생하는 전염병 확산은 밀집 사육이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성우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1월 전남 해남과 충북 음성에서 처음 신고가 접수된 이후 전국에 급속도로 확산한 AI.

이 AI로 석 달 만에 전국 농가 사육 가금류의 20% 정도인 3천3백여만 마리가 사라졌습니다.

피해가 사상 최악으로 불어난 데는 매몰 처분에만 의존한 낡은 방역체계 탓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하지만 수익성만 의식한 밀식 사육이 더 큰 문제라는 지적이 설득력 있게 들리고 있습니다.

축산법을 보면 알 낳는 닭을 기준으로 1마리의 최소 사육 면적은 A4 용지 한 장 크기도 채 되지 않는 0.05㎡에 불과합니다.

열악한 조건에서 자란 가금류는 그만큼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고, 면역력도 약해져 전염병에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오경석 / 청주 충북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밀집 사육을 하기 때문에 동물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고 그 스트레스로 인해서 바이러스가 들어오게 되면 저항성이 없게 되는 거예요 한 번 저항도 못 하고 전부 다 감염이 되는….]

소와 돼지 역시 대규모 사육의 폐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구제역이 첫 발생한 충북 보은군 젖소 농장의 경우에도 반경 3㎞ 내 방역 차단 지역에 농장이 모두 111곳이 몰려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가축 전염병이 발생하면 무섭게 번지게 되고 결국 천여 마리의 소가 땅에 묻혔습니다.

농민들도 이런 사실을 알고 있지만 수익성 때문에 사육 방식을 바꾸지 못하고 있습니다.

[축산 농가 : 시설 집약 사업이다 보니까 돈이 많이 들어가요. 많이 들어갔으니까 가급적이면 한 두 마리라도 더 넣어서 원금을 빨리 빼려고 하는 게 주인 입장이잖아요.]

그러나 밀집 사육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 없이는 구제역과 AI는 연례행사처럼 겪을 수 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입니다.

[강신영 / 충북대 수의학과 교수 : 우리나라 농장 특징 중 하나가 대부분 농장이 다 붙어있어요. 붙어있으니까 한 번 발생하면 옆에 퍼지는 것은 쉬운 일이죠.]

가축 전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차제에 축산 정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정부의 적극적인 자세와 농민들의 사육방식에 대한 개선 의지가 절실한 시점입니다.

YTN 이성우[gentlelee@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