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N팩트] '혁신성장·일자리' 손잡은 정부-삼성

[취재N팩트] '혁신성장·일자리' 손잡은 정부-삼성

2018.08.07. 오전 12:0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경제 사령탑인 부총리와 국내 최대기업 삼성 총수가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삼성은 미래산업에 대한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면서, 이른바 '투자 구걸' 논란 때문에 미뤘던 대규모 투자·고용 계획도 이르면 이번 주 안에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차유정 기자!

경제 부총리 취임 이후 삼성 총수와의 첫 회동이었는데, 분위기는 어땠나요?

[기자]
시종일관 화기애애한 분위기였습니다.

김 부총리가 차에서 내리면서부터 이재용 부회장이 깍듯하게 인사하며 부총리를 맞았습니다.

김 부총리는 방명록에 삼성이 "우리 경제 발전의 초석 역할을 해 달라"라고 적었고, 이 부회장은 "(무더위에) 비가 많이 내렸는데 경제에 좋은 징조"라며 분위기를 띄웠습니다.

이후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함께 둘러본 뒤 경제부처 차관들과 삼성 경영진들과 함께 비공개 정책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김 부총리와 이 부회장은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뜻을 모았습니다.

김 부총리는 "우리 경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중요한 시기에 삼성이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고, "일자리가 20만 개 이상 나오면 광화문에서 춤이라도 추겠다"며 일자리 창출의 절박함도 강조했습니다.

이 부회장은 "기업의 본분을 잊지 않고 젊은이들이 꿈을 가질 수 있도록, 국민이 자부심을 느끼는 회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삼성만이 할 수 있는 기술 개발과 사회에 도움이 되는 가치 창출을 열심히 해서 일자리를 많이 만들겠다"고 화답했습니다.

[앵커]
혁신성장이나 일자리 창출 관련해 어떤 이야기가 오갔습니까?

[기자]
삼성은 바이오산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혁신을 약속하면서, 규제를 풀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바이오 의약품 원료물질을 수입할 때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개선해 달라고 했고, 해외 임상시험 연구개발 비용에 대한 세제 혜택도 요청했습니다.

김 부총리는 일부는 적극적으로 해결하도록 하고 일부는 좀 더 검토하겠다고 답변했습니다.

삼성은 또 주력 산업인 반도체 외에도 5세대 이동통신과 인공지능 등 미래산업에 대한 기술개발 의지도 밝혔습니다.

상생협력 차원에서 1, 2차 협력사 중심이었던 자금 지원 프로그램을 3차 협력사로까지 확대하고, 사내 직원들을 대상으로 했던 소프트웨어 교육을 일반 취업 준비생에게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번 회동이 알맹이 빠진 만남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데 왜 그런가요?

[기자]
이번이 김동연 부총리의 다섯 번째 대기업 현장 방문인데요.

SK나 LG 등 다른 대기업들은 부총리 방문에 맞춰 대규모 투자 고용 계획을 내놨지만, 이번에 삼성은 구체적인 투자나 고용 계획은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원래 삼성도 부총리 방문에 맞춰 대규모 투자·고용 계획을 준비했지만, 회동 전부터 불거진 이른바 '정부의 투자 구걸 논란'이 부담스러웠기 때문입니다.

부총리의 삼성 방문 계획이 나오자마자, 일각에서는 극심한 투자 부진과 경기 둔화 속에서, 정부가 결국 재벌에 투자 SOS를 요청하게 됐다는 얘기가 나왔습니다.

논란은 청와대가 김 부총리에게 삼성 방문 계획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불거졌습니다.

방문 당일 삼성이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 마치 정부가 재벌의 팔을 비틀거나 구걸하는 것처럼 국민이 오해할 수 있다는 겁니다.

특히, '국정 농단 사태'와 관련한 이재용 부회장 대법원 판결을 앞둔 상황에서 정부가 삼성에 손 벌리는 모양새를 부담스러워 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대해 김 부총리는 이례적으로 입장 문을 내고 "정부는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대기업에 의지해 투자나 고용을 늘리지 않는다"고 강하게 반박했고, 이는 청와대와 부총리 간 '정책 불협화음' 논란으로까지 번졌습니다.

결국, 이런 논란이 부담스러운 듯 삼성도 계획을 미뤘던 겁니다.

삼성은 부담스럽지 않은 시기를 골라 다시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 이르면 이번 주 안으로 발표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차유정 [chayj@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