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 떨군 정부...가습기살균제 대응과 닮은꼴

고개 떨군 정부...가습기살균제 대응과 닮은꼴

2018.05.22. 오전 06:2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라돈 침대 사건.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사태라는 말이 나오는데요. 특히 초기 정부 대응은 달라진 게 없어 보입니다.

결국, 이낙연 국무총리가 정부의 잘못된 대응으로 불안이 커졌다며 공식 사과했지만, 되풀이되는 부실한 안전관리에 소비자들의 분노가 거세지고 있습니다.

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악의 유해물질 피해 사례로 꼽히는 가습기 살균제 사건.

판매된 지 10년이나 지나 사망자가 속출하고서야 일부 제품에 대해 수거 명령이 내려졌습니다.

라돈 침대 역시 대진 침대의 시장 점유율이 높던 2000년대에 가장 많이 팔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둘 다 인체에 심각한 해를 끼치는 유해물질을 썼지만, 정부는 10년 이상 전혀 관리하지 않았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사태 3년 전, 이미 보건당국은 PGH가 인체에 치명적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식품으로만 관리해 살균제에 쓰이는지는 몰랐다'는 게 당시 답이었습니다.

라돈 침대도 2007년 방사선 온열 매트 적발 당시 정부가 약속한 대로 단 한 번이라도 방사성 물질 유통 경로를 점검했으면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습니다.

[안정희 / YWCA 소비자 부장 : (생활주변안전관리법이 있음에도) 모나자이트 관리 부재 등 규제 당국의 소비자 안전에 대한 무관심과 허점이 확인되었다. 최초의 라돈 침대 사태는 소비자 안전사고가 여전히 같은 양상으로 되풀이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낙연 총리는 라돈 침대 사태 발생 17일 만에 고개를 떨궜습니다.

[이낙연 / 국무총리 : 라돈이 허용기준치 이내라고 발표했다가 그것을 닷새 만에 뒤집었습니다. 국민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정부가 오히려 국민의 불안을 가중시켰습니다. 국민께 참으로 송구스러운 일입니다.]

오락가락 발표에 유해성을 축소하는 듯한 정부의 소극적 대응도 7년 전과 달라진 게 없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가 정부의 피해 은폐 논란 속에 보상 약속을 받기까지 걸린 시간이 6년.

당장 방사능 침대 수거와 피해 상담조차 모두 업체에만 맡기려다, 뒤늦게 여론에 등 떠밀려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정부의 태도에 피해자들의 분노가 커지고 있습니다.

YTN 김현아[kimhaha@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