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감시 시스템...낙하산 사외이사도 책임

무너진 감시 시스템...낙하산 사외이사도 책임

2016.06.15. 오후 4: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대우조선해양이 천문학적인 부실의 늪으로 빠지는 동안 내부의 감시 시스템은 전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산업은행 출신의 자금 관련 최고 책임자는 거수기 역할을 하는 데 그쳤고, 전문성이 없는 정치권 출신의 사외이사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대건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지난 2012년 5월부터 2년 6개월 동안 수주한 해양플랜트 계약은 모두 13건입니다.

이 가운데 1건만 빼고 모두 수주 심의위원회의 사전 심의를 거치지 않았습니다.

결국, 여기서 1조 3천억 원의 대규모 부실이 발생했습니다.

대우조선해양은 또 조선업과 전혀 관련 없는 자회사 17곳에 투자해 9천여억 원의 손실을 봤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사회에 엉터리로 보고하는 일까지 있었지만 자금 담당 부사장, 즉 CFO를 포함한 이사들은 모든 안건에 찬성했습니다.

대우조선해양의 전직 CFO인 김유훈·김갑중 부사장뿐만 아니라 김열중 현 부사장 모두 산업은행 출신입니다.

[김갑중 / 전 대우조선해양 CFO 부사장 : (그 회사의(대우조선해양) 돈 관리는 제대로 해라, 파악해서 문제가 있으면 보고해라, 이런 뜻으로 보낸 거 아닙니까?) 네,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예측할 용의도 없었던 거 아니에요?) 네, 그런 부족한 부분이, 역량이 부족했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8일 검찰은 산업은행 출신 2명을 포함한 대우조선해양 부사장 3명의 자택을 압수수색하기도 했습니다.

부실을 묵인하거나 방치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겁니다.

[김성진 / 변호사, 참여연대 부소장 : 재무 이상분석 시스템을 거치지도 않았다는 것은 아예 내부 통제 시스템을 일부러 회피했다 이렇게 볼수 있는데 이건 의식적으로 자기 임무를 저버린 배임 행위로 볼 수 있습니다.]

감시의 한 축인 사외이사들도 거수기에 불과했습니다.

2008년 이후 사외이사는 20명인데, 이 가운데 40%는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 등 정치권에 관련된 인사들이었습니다.

조선 분야의 전문성이 없다 보니 애초부터 적절한 견제를 기대하기 어려웠습니다.

경영진에서부터 사외이사까지 내부 감시가 철저히 무너진 상황에서 대우조선해양의 부실은 17조 원으로 늘어났습니다.

YTN 이대건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