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 선언' 급부상에도 靑 "지켜보자"

'종전 선언' 급부상에도 靑 "지켜보자"

2018.06.03. 오후 10:1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과 종전 문제를 논의했다고 밝혀 북미 회담 이후 남북미 3국의 종전 선언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청와대는 그러나, 북미 담판 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우리 정부의 역할 부각을 경계하며 신중한 태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권민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북한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을 만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처음으로 한국전쟁의 종결을 거론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북한과 종전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북미가 한국전쟁 종전을 이야기했다는 걸 믿을 수 있겠습니까? 대략 70년이 걸렸습니다.]

'종전 선언'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정치적 행위지만, 북한이 우려하는 체제 안전 보장의 첫 단추로는 상당한 의미가 있습니다.

[문재인 / 대통령 :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할 경우에 남·북·미 3자 정상회담을 통해서 종전 선언이 추진됐으면 좋겠다는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북미회담을 계기로 싱가포르에 전격적으로 합류하거나, 정전협정 체결일인 7월 27일에 남북미 정상이 판문점에서 종전을 선언할 것이라는 다양한 예측이 나옵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그러나, 종전 선언 논의를 위한 미국 측 공식 요청은 없다며, 지금 나오는 이야기는 모두 추측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다른 관계자도 문 대통령의 싱가포르행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북미 회담의 비핵화 의제 합의가 잘 되는 게 먼저라고 밝혔습니다.

청와대의 신중한 자세에는 북미 협상 과정에서 문 대통령과 우리 정부가 주목받는 것이 득 될 게 없다는 판단이 깔렸습니다.

남북미 회담은 북미 회담의 성공에 달렸을 뿐 아니라 한국의 과도한 역할을 경계하는 백악관 일각의 기류도 고려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실제 문 대통령 권유로 판문점이 북미 회담 장소로 유력하게 검토됐다가, 백악관 참모들의 만류로 싱가포르로 선회한 전례도 있습니다.

또 북한 비핵화의 긴 여정이 이제 시작되는 만큼 반드시 북미 회담에 연동해 종전 선언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분위기도 감지됩니다.

따라서 청와대는 북미 회담 상황을 마지막까지 지켜보며 이른바 '로키(row key)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는 김영철 부장의 방미 활동 결과는 국가안전보장회의, NSC 채널을 통해 미국 측과 전부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YTN 권민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