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대북 압박 동상이몽...관계개선 과제

사드·대북 압박 동상이몽...관계개선 과제

2017.12.11. 오후 10:2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을 앞두고 중국이 북핵 해법에서 우리 정부와 시각차를 드러내는 등 정상 간 협의도 순탄치만은 않아 보입니다.

불씨가 남아있는 사드 논란을 최소화하고 이번 방중으로 한중관계의 바람직한 이정표를 세우기 위해선 고도의 전략이 필요해 보입니다.

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가 두 번째 대북 독자제재 명단을 발표하기 하루 전인 지난 9일.

중국 왕이 외교부장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넘어선 대북제재 요구에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습니다.

[왕이 / 중국 외교부장 : 유엔 안보리 결의 이외의 조치나 일방적인 행동에 나선다면 안보리 단결과 다른 나라의 정당한 권익을 해치기 때문에 우리는 결코 찬성할 수 없습니다.]

미국 내에서 거론되는 북한 해상봉쇄나 대북 원유 중단 요구에 대해 선을 그은 것이지만,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을 앞둔 시점이어서 더욱 주목됩니다.

문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 만나 강한 대북 제재에 동참을 호소한다는 방침이지만 자칫 두 나라 정상 간 북핵 해법에 이견을 노출할 수 있다는 점은 부담입니다.

앞서 지난 9월 문 대통령은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 만나 대북 원유 중단을 요청했지만 성과는 없었습니다.

시 주석의 입에서 사드 문제가 어느 정도 수위로 언급될지도 이번 방중의 성패를 가르는 관건입니다.

문 대통령과 마주한 자리에서 추가 배치 불가 같은 강경한 입장을 내비칠 경우 10·31 합의 이후 해빙기를 맞으려는 한중관계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중국의 경제 보복으로 인한 우리 기업의 애로를 해결하고 두 나라 간 경제 협력에 활로를 열어야 할 과제도 안고 있습니다.

[신범철 / 국립외교원 교수 : 과거에는 우리의 첨단기술과 중국의 저임금 노동이라는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였는데 지금은 중국도 첨단 쪽으로 옮겨오면서 경쟁적 관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런 부분에 있어서 양국이 협력 모델을 어떻게 만들어낼 수 있는가.]

10·31 합의 이후에도 여전히 사드 문제에 다른 목소리를 내며 냉랭한 태도를 보이는 중국.

첫 방중에서 안보 주권을 지켜내고 원만한 경제 협력도 이끌어내야 하는 문 대통령의 어깨도 한층 무거워졌습니다.

YTN 김지선[sunkim@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