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건물 화재, 안전기준 강화에도 여전히 '무방비'

고층건물 화재, 안전기준 강화에도 여전히 '무방비'

2017.10.15. 오전 05:0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지난 6월 런던에서, 2월엔 우리나라 동탄신도시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에서 불이 나 수백 명의 부상자가 나왔습니다.

이렇듯 고층건물 특성상 불이 나면 큰 피해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만큼 안전기준은 꾸준히 강화돼왔는데요.

기준 마련 이전에 지어진 고층건물은 여전히 화재에 무방비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6월 14일 새벽, 런던의 24층짜리 고층건물이 순식간에 불길에 휩싸였습니다.

80명 이상이 숨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이 대형 화재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에서 일어난 최악의 화재 참사로 불립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월 동탄신도시의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에서 불이 나 4명이 숨지고 주민 수십 명이 긴급히 대피했습니다.

이렇듯 고층건물은 외부 진압과 대피가 어려워 한 번 불이 나면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우리나라에 있는 고층건물은 모두 2천3백여 동.

여기에서만 최근 3년 동안 무려 4백여 건의 화재가 발생해 수십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고층건물에 적용되는 화재 안전 기준은 다행히 점차 강화돼왔습니다.

건물 외벽에 불에 쉽게 타지 않는 재료를 써야 하고, 30층마다 피난 안전구역을 마련하도록 돼 있으며 화재 시 이용 가능한 엘리베이터를 설치해야 합니다.

고층빌딩 중간층에 마련돼 있는 피난 안전구역입니다. 불이 날 경우 별도로 마련된 피난용 엘리베이터를 타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 규정이 모두 만들어진 지 채 10년이 되지 않아서, 안전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는 고층건물이 거의 없다는 점입니다.

건물 외벽이 가연재로 돼 있는 고층건물은 여전히 100개 동이 넘고, 피난 안전구역과 피난용 승강기가 제대로 마련돼 있는 건물도 극히 일부입니다.

[박맹우 / 자유한국당 의원 : 문제는 안전 기준이 강화되기 전에 지어진 초고층건물의 경우 대형 화재에 아주 취약하다는 사실입니다. 강력한 안전 점검이나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 특단의 예방 시스템이 구축돼야 합니다.]

또 규정 강화로 안전 사각지대를 줄여나가고 화재 시 행동요령 숙지로 초기 대응력을 높이는 것이 참사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YTN 강희경[kanghk@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