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119 외면하는 건설현장...신고 의무화 추진

단독 119 외면하는 건설현장...신고 의무화 추진

2015.03.16. 오전 04:5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건설 현장에서 부상자가 발생했을 때 119에 신고하지 않고, 지정병원을 이용하려다 치료시간을 놓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건설사들이 산재율을 낮추기위해 신고를 꺼리다 보니 이런 일이 생기는건데, 119 신고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추진됩니다.

신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달 부산 신세계 센텀시티 공사현장에서 안전망을 설치하던 조 모 씨가 7미터 아래 콘크리트 바닥에 추락해 머리를 크게 다쳤습니다.

119 구급차가 출동했지만 현장에는 지정병원 구급차가 먼저 도착해 있었습니다.

건설사측이 사고현장에서 400미터 밖에 있는 119 구조대가 아니라 2.5km나 떨어진 지정병원에 먼저 연락한 겁니다.

[인터뷰:사고 건설회사 안전팀장]
"지정병원인지 119라던지 저는 그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어디 누구서든지 와가지고 빨리 이 분을 데려가는게 중요한거지. 119가 뭐가 중요합니까?"

하지만 지정병원은 척추 관절 전문병원이라 응급치료가 쉽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인터뷰:지정병원 관계자]
"머리 쪽에 이상이 있는 경우엔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잖아요. 중환자실로 들어가야 하는 거니까. 우리한테만 연락을 했다그래서 난 좀 그렇더라고..."

119에 신고한 것도 건설사가 아니라 지나가던 행인이었습니다.

신고시각이 오후 1시 43분으로 건설사측이 지정병원에 연락한 1시 34분과 9분이나 차이가 납니다.

1분, 1초가 급한 응급환자인데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게 유족들의 주장.

조 씨는 사고발생 25분이 넘어서야 대형병원 응급실에 도착했고 결국 과다출혈로 숨졌습니다.

문제는 이런 행태가 반복된다는 점입니다.

지난해 12월 제2롯데월드에서 추락한 인부도 119에 신고하지 않고 먼 지정병원에 갔다 숨졌고 지난 10일 포항제철 고로 사망사고 때는 119구급대가 사고현장에 접근조차 못했습니다.

산재율이 높으면 공공입찰에서 감점을 받게 돼 건설사들이 119 대신 지정병원에서 치료받도록 꼼수를 부린 겁니다.

사정이 이렇자 산업재해 발생 시 119 신고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추진됩니다.

[인터뷰:한정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사업주가 산업재해 인정을 회피하기 위해서 바로 자기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 지정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한다든지 하는 그 과정에서 어찌보면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쳐서..."

공사현장 근로자들은 대부분 하청업체 소속이어서 약자일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산재율 실적에만 급급한 건설사들 때문에 근로자들의 생명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YTN 신현준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